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그래서 미국은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목표는 1파운드당 1천달러
수준
의 우주왕복선.지난 1996년 7월 개발되기 시작해 2004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벤처스타'도 그중 하나이다. 현재의 우주왕복선은 2분의 1만 재사용하는 우주왕복선이다. 즉 발사체는 1회용이란 뜻이다. 그러나 ... ...
PartⅠ. 사이버 사회 누비며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게임에서 얼마나 더 실감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수준
을 넘어선다. ‘버추얼 잭’이나 ‘애버타’를 통해 사람은 현실에서 사이버 공간으로 들어간다. 또 아담이나 사이다는 사이버 공간에서 현실 세계로 뛰쳐 나온다. 그렇다면 현실과 가상 공간의 경계는 어떤 ... ...
인터넷 경품 사이트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없다. 대표적인 판촉 방법은 바로 경품을 주는 것. 공중전화카드나 티셔츠 같은 기념품
수준
에서 컴퓨터, 여행상품권, 자동차와 같은 고가상품까지 등장했다.편리한 인터넷답게 응모 방식도 간단하다. 경품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이름, 주민등록번호, 사는 곳, 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등 ... ...
장애인을 돕는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않도록 로봇 손이 힘과 중력을 적절히 안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분야에 대한 KAIST 연구
수준
은 세계 정상급이라고 한다. 세번째 연구는 앞을 못 보는 장애인을 위한 안내견 로봇이다. 1997년 개발에 착수한 이 로봇은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를 찾아가는 길잡이 노릇을 한다. 앞쪽에 무엇이 있는지를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벌어진다. 화면의 캐릭터 크기가 실제 인물보다 작기 때문이다.마지막으로 현재의 기술
수준
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움직임이 있다. 센서가 케이블을 통해 연기자와 연결된 탓에 연기자의 행동 범위가 제한을 받게 마련이다. 최근에는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선이 달리지 않은 센서를 부착하고 ... ...
PartⅢ. ③컴퓨터게임 속 주인공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여기에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성격을 부여했다. 따라서 게이머는 10대 소녀의
수준
에 맞춰 도우미와 대화해서 자신에게 유리한 조언들을 얻어야 한다. 잘못 얘기해서 도우미가 토라지기라도 하면 적에게 당하기 십상이다.소녀 도우미는 지루하고 단순한 그래픽 덩어리가 아니고 게이머와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페루츠에 의해 헤모글로빈의 구조가 밝혀짐으로써 마침내 단백질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
에서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그림 6).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은 주로 α-나선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정학적으로 구조 분석이 상대적으로 쉬운 단백질이었다는 점은 페루츠와 켄드루에게는 ... ...
Ⅴ 온실효과 탈출 마지막 비상구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어 개념적인
수준
을 넘어 이미 상당 부분 실용화 될 수 있는
수준
에 이르고 있다. 특히 이 개념에서 출발해 바다에 갇혀있을 수도 있는 메탄같은 천연가스를 채취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심해저장법은 비용이 적게들고 대량폐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 ...
Ⅲ 탄소형제들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단일전자 트랜지스터에 한 발 다가선 것이다.물론 전자
수준
까지는 안되지만 나노(10-9m)
수준
까지 접근한 것이다. 그 결과 실리콘 반도체보다 집적도가 1만배 이상 되는 새로운 반도체가 탄생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서울대 임지순 교수의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단일전자 트랜지스터: 전자 한 개의 ... ...
입체화되는 환경공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어떤 충격을 가하는가에 대한 기초 연구. 즉 외부의 자극과 세포의 반응에 대한 분자
수준
의 메커니즘을 추적해 왔다.하지만 환경공학부의 겸임교수직을 맡은 후 새로운 아이템이 떠올랐다. 다이옥신의 양을 측정하는데 전문가인 환경공학부 교수를 접한 것이 방향을 전환하는 계기였다.다이옥신의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