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정서에 문제가 생길 위험도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재건 성형이 꼭 필요한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메스 없이 수술실에 들어간 수학자들그동안 의사들은 의료 영상 기기로 찍은 사진을 보거나 입체로 본을 떠서 환자의 얼굴 구조를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본을 뜬 고체 모형은 환자의 실제 상태를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법칙을 죽을 때까지 까먹지 않을 거고요. 제가 데이터 조작을 알아낼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이 법칙이거든요.데이터 조작을 단번에 잡아낸다니, 벤포드 법칙은 과연 어떤 수학 이론일까요?실험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알고 있다!미국의 수학자 티어도어 힐 교수는 미국 조지아공대 학생들에게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훨씬 넘어섰다는 건 누구나 인정한다. 하지만 인간에겐 아직 비장의 무기가 남아 있다. 바로 상상력과 창조성이다. 사람은 누구나 혼자만의 엉뚱한 상상에 빠지곤 한다. 지도 위에 보이지 않는 목적지를 찾아 헤매고 없는 길을 한 걸음씩 만들어 가기도 한다.컴퓨터에겐 아직 이런 능력이 없다,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흩 어져 살았다.이 와중에 빙하시대의 인류진화 가운 데 두 번째로 큰 사건이 일어난다. 바로 현생인류의 등장과 ‘인간성’의 폭발이다. 현생인류는 약 30만~20만 년 전 사이에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나타났다. 완전한 현생인류 화석은 에티오피아 헤 르토 유적의 17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됐 다.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그런 다음 조종실에서 로봇을 움직여 원자로를 하나하나 절단한다. 잘라낸 조각은 바로 드럼에 넣어서 방사성폐기물처분장으로 보낸다.로봇 작업은 굉장히 어렵다. 오염된 부위를 정확하게 잘라낸 다음 200L 드럼에 꽉 들어차게 차곡차곡 넣는 일은 사람이 직접 하기에도 어려운 일이다. 숙달될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미국 전역을 연결하는 엄청나게 큰 라우터를 감시했다.양파 라우터, 즉 토르의 출발점은 바로 이곳이다. 토르는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 시킨다. 패킷의 내용물, 출발지와 목적지를 공개키 방식으로 암호화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만약 정보기관이 모든 라우터를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급상승한다는 것. 클럽에서 마음에 드는 이성과 섹시한 춤을 출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막춤은 두뇌 기능을 활발하게 한다. 국내의 한 두뇌학습클리닉에서 고등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춤을 추는 실험을 진행했다. 클리닉은 학생들에게 5분씩 하루에 3번, 4주 동안 춤을 추게 한 ... ...
- [Knowledge] 최정의 86억은 거품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각각이 ‘얼마나 승리에 도움이 되는가’를 살펴봐야 한다. 여기에 딱 맞는 통계가 있다. 바로 ‘대체 선수 대비 승리기여(Win Above Replacement. WAR)’다.1승에 지불하는 비용은 1억9000만 원WAR은 타자와 투수를 따로 구한다. 타자의 WAR은 타격, 수비, 주루에 대한 통계 지표를 포지션에 따라 보정을 해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않는다. 박 교수는 금속도 충분히 가늘게 만들면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바로 방직기와 원리가 유사한 전기방사기를 이용해 두께가 500nm(10억분의 1m)로 얇은 금속 나노선을 뽑아 투명 전극을 만들었다. 웨어러블 제품에 적용하려면 전극의 탄력도 좋아야 했다. 그동안 개발된 스프링 ... ...
- 겨울에만 피는 꽃, 상고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같지만 사실 이건 눈이 아니야. 자세히 봐 봐. 맑게 반짝이는 얼음조각들이 보이지 않니? 바로 서리가 내린 거란다.이렇게 서리가 내려 하얗게 변한 나무를 ‘상고대’라고 불러. 한자로는 ‘서리 내린 나무’라는 뜻의 수상(樹霜) 또는 무빙(霧氷)이라고도 하지.추운 겨울나무는 서리로 짠 옷을 입고 ... ...
이전386387388389390391392393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