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와 ‘나의 부분’이 같다?기독교 문화 속에 살았던 중세 유럽 사람은 시간을 초월해서 무한한 창조력을 가진 신을 믿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무한의 정체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논의했다. 대부분은 무한이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라는 데 동의했다. 이렇게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로만 보 ... ...
- 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미국 콜로라도 덴버대학교 교수와 브렌트 토마스 박사, 소골 야한베캄 미국 로체스터공과대학교 교수가 컴퓨터를 이용해 문제를 풀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4색 정리를 해결할 때 사용했던 기술을 적용해 베크너의 문제를 증명했습니다. 1976년 미국 수학자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4색 ... ...
- [과학뉴스] 다친 친구를 구조하는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친 친구를 부축해 집으로 돌아가는 훈훈한 모습이랍니다.최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연구팀은 ‘메가포네라 아날리스(Megaponera analis)’라는 아프리카 마타벨레 개미가 전투 중 부상당한 친구를 버리지 않고 구조하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들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살며 하루에 2~4번, 200~500마리의 ... ...
- [과학뉴스] 유리도 3D 프린터로 인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어요. 이제는 유리도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게 됐답니다.최근 독일 카를스루에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액체 유리’를 개발하고, 3D 프린터로 유리로 된 물체를 찍는 데 성공 했어요. 액체 유리에는 유리의 주성분인 실리카 입자들이 들어 있어요.3D 프린터는 이를 잉크로 사용해 유리로 된 물체를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만드는 게 최종 목표”라고 말했어요. 폭탄을 찾는 용감한 시금치?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이 시금치를 이용해 땅 속에 묻힌 폭발물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는 방법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화분매개자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 주변에서 탐사를 진행했어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오통스 세레 연구원과 배윤혁 연구원이 화분매개자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었지요. 대원들은 이 과정에서 꿀벌, 등에, 호랑나비(오른쪽 사진) 등 다양한 화분매개자를 구별하는 방법을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적도와 가까운 열대 바다에 자리 잡은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지에 지난 8월 고등학생과 대학생 6명으로 이뤄진 ‘장영실주니어연구단’이 나타났다. 이들의 8박 9일을 동행 취재했다. 장영실주니어연구단, 바다에 흠뻑 빠지다장영실주니어연구단은 해양생물부터 기후까지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Q. DGIST의 강점은 뭔가.앞으로는 ‘대학 타이틀’이 중요하지 않다. ‘블라인드 채용’이 대세가 되는 것만 봐도 그렇다. 결국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고, 이런 측면에서 융복합 인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는 더욱 커질 것이다. DGIST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통해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한 발달 잠재력을 가진 세포로 만드는 논문이었습니다. 당시 대학생이었던 저도 ‘아, 이런 방법이 있을 수 있구나’ 하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야마나카 교수팀은 먼저 배아줄기세포가 발달 잠재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 24개를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이 ... ...
이전386387388389390391392393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