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3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3D프린터로 찍어낸 저지방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교수 연구팀은 3D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저지방 초콜릿 잉크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에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황 교수는 “모두가 초콜릿을 좋아하지만 건강에도 관심이 있다”며 “첫번째 ‘기능성’ 초콜릿을 개발한 것”이라 말했다. 초콜릿은 보통 코코아 ... ...
[과기원은 지금] 이정호 KAIST 교수팀, 뇌세포 유전자 변이 검출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KAIST 제공 ■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15일 난치성 뇌 질환인 뇌전증의 원인으로 꼽히는 뇌세 ... 아니라 중추신경계 질환의 메커니즘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바이오머터리얼즈’ 2월호에 온라인으로 실렸다 ... ...
[오늘과학] 분명히 목걸이인데...알고보니 흡연측정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감지하는 청금석 펜던트 형태의 스마트 목 착용 장치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ACM-인터랙티브, 모바일, 웨어러블, 유비쿼터스 기술'에 최근 게재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매년 800만명 이상이 흡연으로 사망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성인 5명 중 1명이 흡연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특정 유전자가 만들어낸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2.12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에 노란색부터 짙은 오렌지색, 분홍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이 섞인 물꽈리아재비(학명 Mimulus)를 실었다. 식물학자들은 연구를 통해 500만년전 물꽈리아재비가 노란색 색소를 억제하는 과정에서 종의 진화에 대한 의미를 발견했다. 유 위안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이집트 미라 방부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1
이집트 국립연구센터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미라에 쓰인 방부처리 물질을 발굴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1일 발표했다. 그간 정확한 재료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고대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에서 얻은 일종의 천연소금인 '나트론'을 시신에 채워 약 40일간 체액과 습기를 ... ...
[논문감시] 한국 저명 심장학자 논문 2건 철회..."학계 관행" 옹호 주장도
2023.02.10
정도면 내용이나 그림이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라며 "최근 학계에서는 국내와 국외
학술
지 동시 투고는 물론 학회에 논문을 발표하는 것도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 철회건에 대한 입장을 묻기 위해 세브란스병원을 통해 박 교수에게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휘발유 자동차 약 50만대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끼치는 영향과 같다는 분석을 국제
학술
지 ‘환경 과학과 기술’에 내놓기도 했다. 루민8이 연구 중인 소 트림에서 발생하는 메탄양 줄여주는 사료 첨가제. 루민8 제공 루민8은 소 트림에서 발생하는 메탄의 양을 줄여주는 사료 첨가제를 개발 ... ...
[과기원은 지금] 강정구 KAIST 교수팀, 폐수→암모니아 전환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개발에 쓰인다. 연구는 탄소중립 실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프론티어스 인 바이오엔지니어링 앤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지난달 5일자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탄소 흡수원으로 쓰는 건 급한 불을 끌 수 있는 꽤 효과적인 방법처럼 보인다. 그런데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3일자에는 해조류의 탄소 흡수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바다 밑 퇴적층에 사는 미생물 가운데 메탄생성 고세균이 가라앉은 해조류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속 마그마의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하와이 섬의 주요 동서쪽 고속도로에서 3km도 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굳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에서 흘러내린 용암이 마우나 케아 화산 쪽으로 흐르는 사진을 담았다. 사이언스는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마우나로아 화산의 분화과정을 자세히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