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기소개"(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비록 실패했지만 너는 다를 거야"2019.06.29
- 타인에 대한 악담이 자신을 방어하려는 심리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얼마 전 우연히 어떤 한인 커뮤니티에서 한 여자분이 일단 미국으로 온 다음 일자리를 찾고 싶다고 한 글을 본 적이 있었다. ‘그렇구나 힘들겠다’ 정도의 감상이었는데 충격적이었던 것은 '꿈도 꾸지 말고 영어나 배워라. 집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2019.06.22
- 소외감을 크게 느끼는 사람 중에 어떤 이는 문제해결보다 오히려 공격적인 행동을 한다. 이는 '희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픽사베이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듯한 징후를 포착했을 때, 바람직한 행동은 문제를 찾아 갈등을 해소하고 다시 원만한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슈퍼우먼, 결국 입을 다물다2019.06.15
- 고난과 역경에도 혼자서 이겨내야 한다는 '강박'은 마음의 소리를 듣지 못하게 한다. 픽사베이 ‘강인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들 한다. 힘들어도 내색하지 않고 불평불만 하지 않으며 밝고 긍정적으로, 씩씩하게 이겨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2019.06.08
- 외부 자극을 받아들일 때 각자의 '필터'를 통해 소화해낸다. 긍정적인 정서도 마찬가지다. 게티이미지제공 나쁜 일이 생기면 그 나쁜 일 자체가 우리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이 아니다. 한 번 일어난 일을 수도 없이 ‘곱씹기(rumination)’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영구적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2019.06.04
- 초고체 실험의 핵심 부품인 ‘비틀림 진동자’. 그 뒤로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의 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제공 2000년대 들어 격년으로 노벨 과학상을 받다시피 하다 보니 일본인 수상자가 25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필자가 가장 깊은 인상을 받은 사람은 2008년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2019.05.28
- 아이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은 18시간으로 마무리됐다. 교육부에서 규정한 연간 17시간보다 한 시간을 더 썼다. 게다가 일대일 과외라는 개발자 아빠 찬스도 적용됐다. 아무래도 학교에서 이뤄질 교육보다 모자라지는 않을 것이다. 질적, 양적인 면 모두에서 말이다. 교육을 통해 아이는 컴퓨터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쁜 생각은 곱씹을수록 불어난다2019.05.25
- 지나간 일을 반복재생하는 경향인 '곱씹기'는 우울증 등 악영향을 낳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밤에 자려고 눈을 감으면 창피한 기억들이 떠오르면서 ‘내가 그 때 왜 그랬을까?’ 같은 질문을 반복하며 괴로워 하거나 한 번 발생한 나쁜 일에 대해 생각하고 또 생각하면서 오래 동안 괴로워했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2019.05.24
- 모발 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제거한 실험실 쥐와 일반적인 실험실 쥐. NHGRI 제공 대학원 시절, 인간유전체 프로젝트와 더불어 생쥐 유전학이 유행하고 있었다. 광활하게 펼쳐진 유전체 속에서 단 하나의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 그 생쥐는 녹아웃 마우스(Knock-out mice)라 불리며 생물학자들에게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2019.05.22
- 어렸을 때, 어머니는 전자오락실을 운영했다. 국민학교 3,4학년 무렵이다. 당시 공무원이던 아버지의 얇은 월급봉투로는 먹성 좋은 아들 둘의 식비조차 감당키 어렵단 판단에서 출발했을 것이다. 어머니는 주로 오후에 가게에 나갔는데, 막내 혼자 집에 두고 가기에 아무래도 불안했는지 종종 필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2019.05.21
- 생물체가 이용하는 모든 생체분자는 생물체에 의해 합성된다. - 로베르 파스칼, 막스무스롱생체분자연구소 최근 불교학자인 일본 하나조노대 사사키 시즈카 교수가 쓴 ‘붓다와 아인슈타인’이라는 책을 재미 읽게 읽었다. 쿄토대에서 공업화학을 공부한 사사키 교수는 이후 철학과 불교학으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