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스페셜
"
덕분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제품명) 무료 공급으로 2억 달러(약 2300억 원)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물론 그의 결단
덕분
에 실명을 숙명으로 기다려온 수많은 사람들의 삶이 완전히 바뀌었고 캠벨과 오무라는 노벨상을 받았다. 학술지 ‘사이언스’ 11월 22일자에 실린 한 기사를 보며 문득 위의 이버멕틴 비하인드 스토리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갈릴레이의 구명에 나섰던 사람이었다. 판결문을 바꾸지는 못했으나 그의 노력
덕분
에 갈릴레이는 지하 감옥에 갇히는 대신 가택에 연금되었다. 갈릴레이가 연금된 가택은 핀초 언덕에 있는 메디치 저택으로 지금은 프랑스 문화원으로 쓰고 있다. 로마의 지하철역 스파냐 역에서 아주 가깝다. 보통 ... ...
노도영 IBS원장 "국가기초과학연구소로 정체성 세우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다사다난했던 시기였지만 모든 연구자와 직원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해준
덕분
에 5년의 임기를 완주할 수 있었다”며 “적임한 후임자가 원장으로 취임한 만큼 당면한 과제들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며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소회를 밝혔다. ... ...
"사람 몸에 이로운 미생물 섞어 질염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나타났다. 산성환경에 강하고 질 내벽에 잘 정착하는 특징을 가진 두 균주를 배합한
덕분
이다. 2006년 10월에는 UREX 프로바이오틱스가 질염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다. 질염환자 2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은 UREX 프로바이오틱스를, 다른 쪽은 기존 병원에서 치료하는 대로 항생제 ... ...
자궁경부암 감소…10만명당 발생 2009년 12.3명→2018년 8.4명
연합뉴스
l
2019.11.15
사업과 자궁경부암 국가 검진 사업 등으로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정책의 효과가 나타난
덕분
으로 풀이된다. 15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8 국가암등록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자궁경부암의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009년 12.3명에서 2012년 11.4명, 2015년 10.9명 등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법칙은 경험법칙이라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를 알지는 못했다. 거꾸로 케플러의 법칙
덕분
에 행성운동을 지배하는 근본법칙을 후대에 알게 되었다. 바로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다. 대학교 1학년 때 일반물리학을 배우면 시험문제로 흔히 등장하는 게 케플러의 법칙으로부터 (원운동을 ... ...
물류회사와 보험사는 왜 달탐사에 뛰어들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최초의 달 물류서비스를 선보였다. 애스트로보틱스 제공 오랜 우주개발 역사를 지닌
덕분
이기도 하지만 이들 기업은 1972년 12월 이후 47년 만에 다시 시작된 미 정부의 달 탐사 계획에 대해 위험을 크게 느끼지 않는 눈치다. 까다로운 우주개발 사업의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기술의 혁신을 이뤘고 이를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세상을 바꾼 발견과 발명은 이런 질문을 하고 이를 오랜 시간에 걸쳐 연구한 사람들
덕분
에 이뤄질 수 있었다”며 “KAIST도 10~20년 동안 교수를 평가하지 않고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특이점 교수’ 제도를 운영해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제공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
2019.10.12
3이 많이 있는 음식이 좋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
덕분
에 좋다는 것일까? 우선 지방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지방산이 글리세롤로 연결된 것을 지방이라고 한다. 지방산은 짝수 개의 탄소를 가지는 분자인데, 따라서 탄소 사슬을 이룬다. 탄소 간에 이중 결합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두 사람이 최초의 외계행성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런 독특한 특성
덕분
이었다. 행성이 무거울수록 별을 더 크게 흔들기 때문에 당시 천문학자들은 무거운 행성을 목표로 삼았고 이런 행성들은 태양계의 목성처럼 공전주기가 짧아도 수 년, 보통은 10년 이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