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확립
확인
입증
정원
고정
뉴스
"
확정
"(으)로 총 1,680건 검색되었습니다.
IAEA 사무총장, 7일 방한...日 오염수 종합 보고서 직접 설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7.04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한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 연합뉴스 제공.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7일 방한한다. 4일 공개될 것으 ... 박 차장은 "이외에도 외교부 장관과의 면담 등이 예정돼있다"며 "현재 조율 중인 일정이
확정
대는대로 다시 설명드리겠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연구의 결과 때문에 2B군에서 커피를 제외시킨 경우도 있었다. 아스파탐의 2B군 분류가
확정
되더라도 아스파탐의 식품첨가물 승인이 취소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뇨 증상 때문에 설탕을 섭취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사카린‧아스파탐과 같은 대체 감미료는 여전히 기적과도 같은 ... ...
日, 한국 수출규제 모두 해제…'화이트리스트' 완전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6.27
2018년 강제징용 배상 소송 일본 피고 기업에 대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고
확정
판결한 데 대해 일본이 반발하면서 촉발됐다. 일본은 판결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 조치로 2019년 7월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의 수출 규제에 나섰다. 이어 다음 달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했다. 이에 한국은 ... ...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 임무기간 2년 연장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6.27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 과학동아 DB 국내 최초의 달 궤선 ‘다누리’의 임무운영 기간이 당초 1년에서 2년 연장된 3년으로 정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달 탐사 사업 추진위원회를 통해 다누리의 임무운영 기간을 당초 계획인 1년에서 3년으로 연장했다고 ... ...
누리호 후속 ‘차세대발사체’ 연구책임자에 박창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6.23
차 발사 최종 분석결과를 논의하고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연구책임자 선정 결과를 심의·
확정
했다.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은 누리호보다 성능이 고도화된 발사체를 대형위성 발사, 달탐사 등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하는 사업이다.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총 2조 13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 ...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23.06.10
직접 짓거나 정리한 248종의 우리말 나비 이름은 광복 후인 1947년 조선생물학회를 통해
확정
됐다. 지역별 독특한 문화에 대한 그의 관심은 제주도의 방언과 역사 및 문화 연구로도 확장돼 ‘제주학’의 기틀이 되기도 했다. 석주명이 생각한 민족과 지역은 세계와 연결되는 것이었다. 그는 모든 ... ...
소형모듈원자로 기술 민간기업에 이전 추진...8일 당정협의회
동아사이언스
l
2023.06.08
정부는 8일 논의된 전략을 국무총리 주재 ‘원자력진흥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6월 중
확정
할 예정이다. 당은 국내 SMR 기술 개발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사업들의 예산확보에 최대한 협조하기로 했다. 당정은 이날 또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 성장을 위한 지역과학기술혁신법 제정안에 ... ...
‘인공태양’ 핵융합 전력 생산 ‘대장정’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7
핵융합에너지 개발 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에 따라 지난 2월 국가핵융합위원회에서
확정
한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위한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의 후속조치다. 핵융합 실증 핵심기술 개발과 실증로 설계를 병행 추진한다. 실증로 설계는 총 3단계로 이뤄질 예정이다. 2026년까지 1단계 ... ...
"시민들이 만든 과학 데이터, 논문은 물론 정책까지 활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06
‘참여과학의 진보를 위한 연합(Association for Advancing Participatory Science)’이다. 아직
확정
되진 않았지만, 이 이름을 두고 더 많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개인적으로 시민과학이란 말이 간단하고 입에 익어서 좋지만, 모든 이들을 배려하고 싶어 하는 미국시민과학협회의 고민을 느낄 수 있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논문을 쓰자고 재촉했고 부랴부랴 마무리해 ‘사이언스’에 보냈고 8월 2일자 게재가
확정
됐다. 반면 MRC의 논문은 이보다 2주 늦은 8월 16일 ‘네이처’에 실리게 됐다. ● 오해는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고 당시 케임브리지 MRC에서 tRNA 구조 규명 연구를 이끌고 있던 아론 클루그는 MIT와 듀크대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