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 시스템 배터리 소모량 71.5% 줄이는 기술,
학부
생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배터리 소모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교신저자인 반효경 교수는 “
학부
생의 성과로는 이례적이며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진행하다 보니 연구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어 학계에 인정받는 것이 다소 수월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란 소프트웨어 개발 시 소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RNA 합성에서 합성 종결 인자 '멈춤의 역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양상의 차이. KAIST 제공 ■ KAIST는 강창원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RNA 합성 종결 인자의 동역학적 특성을 발견하고 이 특성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미치는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DNA에서 RNA를 생성하는 과정을 마무리 짓는 ... ...
[주말N수학] 록밴드 '보컬리스트'가 부캐인 괴짜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2.25
불타올랐다. 서 교수는 “어느 날 ‘대학원까지 왔는데 나는 내 정리를 못 만들고
학부
생 때처럼 다른 사람의 정리만 계속 배우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번뜩 들었다”라고 말했다. 바로 수업을 나와 서 교수는 수학과 도서관으로 달려갔다. 나만의 연구주제를 찾자는 생각이었다. 이 책, 저 책 ... ...
“친구가 차별당하면 나도 우울감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우울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고려대는 김진호 보건과학대 보건정책관리
학부
교수 연구팀이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급 친구의 차별 경험이 개별 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청소년 건강저널'에 게재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차별에도 파급 ... ...
쓴맛 없고 향 좋은 오이 개발 위한 유전정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대는 이은진 농업생명과학대 농림생물자원
학부
교수 연구팀이 이기범 충남대 교수, 송기환 세종대 교수와 공동으로 국내외 69개 오이 유전자원으로부터 쓴맛과 향기 성분을 분석해 오이 육종에 활용할 수 있는 유전정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푸드 케미스트리' ... ...
[인사]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KAIST ▽보임 △교
학부
총장 이동만 △자연과학대학장 곽시종 △생명과학기술대학장 김대수 △공과대학장 겸 정보전자연구소장 문재균 △인문사 ... △인권윤리센터장 김상욱 △연구처장 조병관 △KAIST 인공지능연구원장 오혜연 △공과대
학부
학장 이재우 △의과학대학원학과장 김하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만 5772명, 석사 3만 8360명, 학사 2만 867명 등 총 7만 499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게 된다. 2004년
학부
에 입학한 뒤 19년 만에 박사학위를 받는 차유진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 조교수가 졸업생 대표연설을 한다. 그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를 졸업한 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정체를 알 수 없는 ‘문과 침공’ 논란
2023.02.15
일이다. 수능 선택과목의 표준변환점수가 만들어낸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는 뜻이다. 경제
학부
·심리학과·영어교육과·지리교육과·국어교육과의 합격자 중에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한 학생이 많은 것이 문제라고 할 수도 없다. 미적분과 기하를 배우면서 얻은 소양이 경제학·심리학·교육학의 공부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때까지 끈기 있는 전문가들만 할 수 있던 실험이
학부
학생들이 시범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획기적으로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용이하게 한 효소는 DNA topoisomerase라는 효소다. 1971년에 처음 발견된 이 효소는 이완되거나 초나선 모양을 하고 ... ...
"노년의 만성적 외로움, 신체 노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는 김진호 보건과학대 보건정책관리
학부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노인학회지’에 게재했다고 1일 밝혔다. 외로움은 정신 건강뿐만 아니라 신체 건강까지 악화시킬 수 있는 주요 원인이다. 경제적 자원이 감소하고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