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약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가 보유한 이중수차보정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입자의 구조를 1조 분의 1m 단위인 피코미터 단위로 관찰하고 성분비를 분석해, 이 새로운 촉매의 특성을 밝혔다. 백현석 연구원은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더 개선해 하나의 원자가 ... ...
초저전력 스포츠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OPD)를 이용하는 저전력 센서를 개발했다. 우선 피부에서의 빛이 가장 잘
투과
되는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OLED와 OPD의 빛을 섞어 사용할 경우 가장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평균소비전력 약 0.03밀리와트(mW)만으로도 심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는 데다 필라멘트 사이의 간격이 수백㎛에 불과해 전체적으로 반
투과
성 막이 있는 것 같은 효과를 낸다. 그 결과 뒤쪽(갓털의 위쪽)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안정한 소용돌이 고리가 형성되면서 양력이 생긴다. 연구자들은 실리콘 원반을 가공해 공극률을 민들레 갓털 수준으로 ... ...
'분자지문'으로 계란속 살충제 실시간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불리는 라만 신호에 주목했다. 빛 알갱이인 광자는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되거나
투과
되며 에너지를 약간 잃어버리는데, 이를 측정한 것이 라만 신호다. 라만 신호는 물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할 수 있으면 물체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하지만 라만 신호는 세기가 너무 약해 그동안 제대로 ... ...
‘ICT강국’ 견인한 국내 첫 반도체실험실 30주년 맞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AMOLED) 기술을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컬러필터 없는 컬러 전자종이,
투과
와 반사가 동시에 일어나는 디스플레이(LASA),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 역시 ETRI 반도체실험실이 탄생시킨 최초의 기술들이다. CDMA 단말기용 아날로그 주문형반도체, 광통신용 칩 같은 초고속 통신 부품, 지상파 DMB 수신 ... ...
佛 루브르박물관도 문화재 보존 위해 원자력을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문화재 손상 없이 결합 찾는다 ‘방사선 조사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방사선의
투과
력과 살균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의료 분야에서 주로 쓰지만, 문화재 분야에선 주로 목재 문화재 관리에 이용된다. 방사선 조사를 통해서는 목재 문화재의 생물학적 손상을 일으키는 벌레와 곰팡이 번식을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있는 새로운 방식의 투명전극을 만들어냈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
도가 매우 높은 질화알루미늄 속에 인듐과 주석 이온을 도핑해 효과적인 전류주입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투명전극을 만들었다. 이렇게 개발한 마이크로 LED는 기존에 사용돼 기존에 여러 과학자가 연구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말했다. 수소 운반은 의견이 갈린다. 김희탁 교수는 “수소는 크기가 가장 작은 분자로
투과
를 잘해 금속에 보관할 수 없다”며 “현재 폴리에틸렌과 탄소섬유를 이용한 고분자 수소탱크로 운반하는데, 장기 저장만 아니면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고체에 흡착시켰다가 필요할 때 ... ...
치매 치료 가능한 새로운 원리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감퇴됐다. 그러나 ASM 생성이 억제된 노화 동물모델은 이와 반대로 뇌혈관장벽의
투과
성이 낮아져 기억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실험결과가 ASM의 억제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나 예방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혈관장벽을 ... ...
DGIST-서울대, 뼈 속 칼슘 축적되는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제공 초기 성장 과정의 나노입자는 지름이 1~2나노미터(㎚․10억분의 1m)정도로
투과
전자현미경으로도 제대로 관찰할 수 없다. 연구진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뼈의 주요 성분인 인산칼슘의 나노 입자를 ‘비행시간-중에너지 이온산란 분석법(TOF-MEIS)’을 개발했다. TOF-MEIS는 나노 박막이나 나노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