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 한 복판에서 비행기 항로 찾는 법 알아냈다
2015.05.17
위치 정보만 2500만 건에 달했다. 이 신호는 항공기가 운행하는 동안 계속 발신되지만
육지
에서 멀어지면 공항 등 관제국에서 전파를 수신할 방법이 없어 궤도를 찾기 어려웠다. 이번 지도는 항공 사고를 막는 효과도 있을 걸로 보인다. 레이더 전파가 도달하는 곳은 비행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 ...
교신 두절 러시아 무인 우주화물선 8일 지구로 추락
2015.05.07
센터장은 “지구 진입 시점은 바다 위지만 수직추락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육지
쪽으로 날아가면서 대기에 타고 남은 파편을 흩뿌릴 것”이라며 “가능성이 낮지만 일부 파편이 북유럽 상공을 지나면서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떨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프로그레스는 우주비행사들의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하려면 몸무게가 되도록 가벼워야하고, 날아오는 물체를 피하기 위해 방어기작이
육지
동물보다 훨씬 빨리 작동해야 한다”며 “하늘을 나는 특수한 특성 때문에 다른 동물에 비해 유전체가 훨씬 더 가볍고 효율적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매의 눈’으로 자외선까지 추적 새들은 ... ...
현존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들을 소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4.16
현재는 멸종위기에 있는데요. 현재 남은 개체는 약 1만 마리로 추산됩니다. 참고로
육지
에 사는 포유류 중 가장 큰 동물은 몸길이 6∼7.5m, 몸무게 6t에 이르는 아프리카 코끼리입니다. ◇ [조류] 시속 90km로 달리는 거대 조류 ‘타조’ flickr 제공 조류 중 가장 덩치가 큰 동물은 타조입니다. ... ...
동물의 천국, 탄자니아를 만나다
2015.02.15
수 있는 얼굴이 빨간 새 ‘마라부’가 긴 다리를 뽐내며 성큼성큼 다가왔다. 그 아래에는
육지
거북 무리가 조용히 영역 싸움을 벌이고 있었다. 규모는 작지만 잠시나마 ‘진짜 탄자니아’를 엿볼 수 있는 순간이었다. ‘동물의 천국’인 탄자니아 답게 박물관 실내에서도 수많은 박제동물을 볼 수 ... ...
100km 떨어진 바다에서 문자메시지 ‘OK’
2015.01.09
이 기술은 TV 방송 주파수와 비슷한 대역을 이용하며, 전송 속도는 최대 76.8Kbps로
육지
와 문자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김대호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최근 논의 중인 해상통신 국제표준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2017년경 상용화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1998년 북아프리카에서 뼛조각 400여 개가 한꺼번에 발견되면서 관심이 집중됐다.
육지
의 난폭한 육식공룡으로만 알려졌던 스피노사우루스가 물속에 집을 짓고 살면서 헤엄도 쳤다는 사실이 올해 처음 밝혀졌다. 남극 대륙에 보존된 우주먼지를 촬영한 사진도 10위에 올랐다. 우주먼지는 혜성이 ... ...
2015년 ‘을미년’ 첫 해는 독도에서 7시 26분 21초에
2014.12.23
해가 가장 늦게 지는 곳은 전남 신안군 가거도로 17시 40분 03초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다.
육지
에서는 전남 진도군 세방낙조에서 17시 35분 03초까지 일몰을 감상할 수 있다. 일출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 또는 수평선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때를 의미하고, 일몰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 또는 수평선 ... ...
2014년 여름, 우리가 바다로 나가는 까닭은?
2014.08.10
바다의 가치는 더 소중해진다. 외국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일 뿐 아니라, 좁고 한정된
육지
보다 바다에 더 큰 가능성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바다에는 과학적 연구 소재와 산업적 가치가 높은 원료도 무궁무진하다. 2014년 대한민국은 바다에 대한 씻기 어려운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한동안 ... ...
육지
에 비 내려야 적조 줄어들어
과학동아
l
2014.07.22
적조 생물 ‘코클로디늄’이 감소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고 22일 밝혔다.
육지
에 비가 내리면 질소나 인 같은 영양염류가 바다로 흘러나가 적조 생물의 먹이가 풍부해진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연구진은 다양한 식물성 플랑크톤 사이의 먹이경쟁 때문에 유해한 적조 생물이 감소할 수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