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국립산림과학원에는 은행나무 성별을 분석해 달라는 의뢰가 꾸준히 늘고 있어요. 실제로 DNA분석 기술을 통해 최근까지 1000여 그루가 넘는 은행나무 암나무가 수나무로 교체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킁킁~! 똥냄새가 생존전략? 은행나무의 비밀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꽤 비슷한 이야기이긴 했다. “요즘 ‘관벌레’ 샘플 이야기가 뜨겁다는 얘길 듣고, DNA 분석 결과를 받아 검토해 보았습니다. 상당히 놀랍더군요. 지금까지 알려진 생물 중에서는 관벌레와 가장 가까운 것이 사실입니다만, 상당히 먼 과거에 고립되어 진화한 종 같습니다.” 에반스 박사의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억제한다. HIV는 숙주 세포에 침입해 자신의 RNA를 DNA로 역전사한 뒤 숙주 세포의 DNA에 끼어 들어가 증식한다. 우리 몸의 세포가 HIV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바뀌는 셈이다. 그런데 역전사효소를 억제하면 HIV가 증식할 수 없게 되고, 비감염인은 결과적으로 HIV에 감염되지 않는다. 프렙을 처방할 경우 HIV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 cing)’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염기서열을 작은 DNA로 절단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한 것이다. 마누엘 스파나글 독일환경보건연구센터 박사는 “양조 과정에 특히 중요한 아밀레이스 효소처럼, 농업 및 산업적으로 중요한 유전자 군을 상세하게 분석할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혈장에서 채취한 무세포 DNA로 태아의 유전 이상을 검사하기도 하지요. ‘혈관 속 DNA’는 맞는 가사입니다. 네 후보의 매력이 막상막하여서 이그뮤직상을 뽑기가 무척 힘들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후보로 소개한 곡을 다시 한 번 들어보면서 어느 곡이 이그뮤직상에 어울리는지 생각해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장 교수는 1999년부터 시작했다. 신경망 신호전달 과정 양자역학으로 계산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가 밝혀진 이후 분자생물학 연구는 급속도로 발전했고, 1990년 RNA 간섭현상이 밝혀지는 등 1990년대 들어 단백질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졌다. 이런 분위기에서 생물학자는 물론 화학자, 물리학자도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하루 중 특정 시간에 피어리어드 유전자의 ‘전사’가 활성화된다. 피어리어드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이 RNA 중합 효소에 의해 동일한 염기서열을 갖는 RNA분자로 합성되는 것이다. 즉, 피어리어드 전령RNA(mRNA)가 증가한다. 이어서 RNA 번역 과정이 일어난다.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세포소기관인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위’다. 크리스퍼라는 RNA(유전자 가위)가 ‘Cas-9(캐스-9)’이라는 효소를 이용해 표적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기술로, 유전자 교정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이 기술의 파급효과는 매우 강력해서, 암 같은 난치병을 곧 쉽게 치료하게 될 거라는 기대와, 제대로 된 기준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희석돼 유전자 발현이 시작된다는 가설입니다. 예를 들어 수정란에 억제 단백질 8개가 DNA를 꽁꽁 묶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세포분열 이후 수정란이 8세포기로 접어들면 세포 각각에 있는 억제 단백질은 1개로 급격히 줄어듭니다. 한편 세포분열 횟수와 관계없이 수정란이 수정된 지 몇 분이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 등은 ‘대립형질 결실(Allele dropout)’이 일어났을 가능성도 제시했다. 크리스퍼가 DNA를 부수고 이를 수선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결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유전자 교정 실험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 중 하나다. 에글리 교수가 말한 대립형질 결실은 1000개 이상의 염기가 사라지는 큰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