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연
d라이브러리
"
확산
"(으)로 총 1,3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올해부터 총 34억 원을 들여 스마트 빅보드 시스템을 각 지방자치단체에
확산
시킬 예정이다. 내비게이션 → 빠른 대피 경로프로젝트 311에서는 차량 이 동 정보에도 주목했다. 지진 당시 도로는 대피하는 차량 들로 극심한 정체를 빚었다. 도로에서 오도 가도 못한 채 쓰나미에 쓸려간 차량들도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한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죽은 사람에게 키스를 하는 장례문화 가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에 큰 변수로 작용하는 점을 계산에 넣 지 못했다. 이런 현실적인 요소를 수학적으로 보다 정교한 알고 리듬으로 만들어 소프트웨어에 반영할수록, 전염병의 피해를 정확하게 예측해 방역대책을 세울 수 있다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폐결핵이 급증했습니다. 오늘날 공공 보건의 무덤이라 할 이 사태가 남한이나 중국으로
확산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한-중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한국 역사에서 민족의 성지입니다. 그런데 10세기 경에 있었던 백두산 화산 분출이 지난 1만 년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규모였다는 ... ...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거예요.한편 넷엑스플로 어워드에서는 이 기술 외에도 스마트젓가락(중국)과 에볼라
확산
방지 앱(나이지리아), 초소형 성분분석기(이스라엘) 등이 상을 받았답니다 ... ...
[수학뉴스]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발표,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까?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경험’ 프로그램 개발■‘성공 경험’을 지원하는 수학학습나눔교실((구)수학클리닉)
확산
■수학 우수학생을 위한 수학 심화 프로그램,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수학 멘토링 실시3. 수학교육 발전 기반 조성■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기회 제공■수학교사 연구회를 중심으로 자율적 연수 기회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하지 않고 방치해도 소나무가 멸종하는 데 70년 이상 걸린다. 소나무재선충병의 연간
확산
거리가 3km라는 연구 결과에 기반한 계산이다. 해발 700m 이상까지는 매개곤충이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단기간 내 소나무가 멸종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게다가 총력으로 방제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멸종 위험이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크 럼프의 FDM 특허가 2009년 10월 풀리면서, 렙랩(RepRap) 같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널리
확산
됐다. 렙랩은 영국 배스대의 수학자 겸 기계공학자인 에이드리언 보이어 교수가 2005년에 시작한 프로젝트로, 누구나 자유롭게 만들어 쓸 수 있는 3D 프린터를 개발하는 게 목표였다. 이를 계기로 FDM 방식을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하지만 형태소가 두 개이면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두 형태소가
확산
하는 법칙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작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한다. 따라서 형태소의 분포가 물결 모양으로 나타나면서 다양한 무늬(C)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을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설명했다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년 이상 되는 화석과 고고학 유적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호모 에렉투 스 단계의 인류가
확산
돼 왔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곡리 유적에서 보이는 주먹 도끼가 그 흔적이다. 또 북한 평양 일대 에서 발견된 화석 중에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형’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현생인류 단계의 화석 인류로는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경계선의 입자들이 산란되면서 고에너지 전자의
확산
을 막는다는 얘기입니다. 이 보호막의 정확한 정체를 알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매우 중요한 발견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내대가 주로 양성자로 이뤄져 있지만 전자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