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성"(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장의 과학] 원자외선 오로라가 반짝반짝! 혜성에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빛을 관측할 수 있는 우주망원경인 원자외선 분광기를 활용했답니다.갈란드 박사는 “행성과 혜성의 환경이 다른 만큼 오로라도 다르게 나타난다”며 “오로라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를 이어 나간다면 태양계의 날씨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플라즈마 : 강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선녀가 원하던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그런데 최근 달에서 산화철 광물인 적철석이 발견됐어요. 미국 하와이 지구물리·행성학 연구소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공동연구팀은 인도의 달 탐사 위성인 찬드라얀1호에 탑재된 달 광물 지도 작성기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달의 고위도 지역에서 적철석을 찾아냈지요. 연구팀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마찰과 열로 모두 녹아버렸을 것으로 예상했어요. NASA에서는 지름이 140m 이상의 소행성을 잠재적으로 위험한 천체로 분류하고 있답니다. NASA에서는 지구로 다가오는 천체 중 1만 개 이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어요. #에필로그 꿀록 탐정은 수많은 돌 사이에서 운석 3개를 찾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공룡·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날아온 소행성의 충돌로 대멸종이 일어났다고 발표했죠. 이후 실제로 멕시코에서 소행성의 충돌 증거인 지름 180km의 ‘칙술룹’ 크레이터가 발견되었답니다 ... ...
- [가상인터뷰] 세레스, 바다를 품고 있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숙제를 남겼어. 세레스 지하에 어떻게 바다가 생겼는지를 알아내는 일 말이야. 세레스 행성 내부에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열이 어떻게 유지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거든. 또한, 바다가 있으면 생명체가 있을 수 있는 조건이 돼. 어딘가에 생명체가 살지도 모른다는 거지. 그래서 NASA는 ... ...
- [한장의 과학] 차별이 담긴 천체 별칭 없앤다! NGC 2392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NASA)도 차별적인 인식이 담겨있던 성운의 별칭을 더는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어요. 행성과 성운의 공식 명칭은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되지만, 일부는 특별한 의미를 담아 별칭으로 불렀어요. ‘말머리성운’, ‘반지 은하’ 등이 그 예죠. 이번에 별칭이 없어지는 주인공은 ‘에스키모 성운’으로 ... ...
- [과학뉴스] 망간에서 에너지 얻는 미생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지질행성과학과 제러드 리드베터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망간에서 에너지를 얻어 사는 세균을 발견했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러한 미생물이 존재할 거라고 예측했지만, 실제로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재미있게도 이번 발견은 우연한 상황에서 일어났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가시광선, 항생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 평화로운 지구에 악당이 나타났어! 지구를 점령하러 외계 행성에서 날아왔대. 최첨단 무기로 무찌르고 세상을 구해야겠어. 엣헴! 가시광선(可視光線, visible light) ‘가시광선’은 ‘볼 수 있는 빛’을 뜻해요. 보통 ‘빛’이라고 하면 햇빛과 전등빛 등 가시광선만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창의성’이라는 뜻의 인지뉴이티는 퍼시비어런스와 함께 화성으로 가 지구 밖 행성에서는 최초로 비행 실험을 할 예정이에요. NASA가 진행했던 실험의 목표는 화성 환경에서 인지뉴이티가 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거였어요.먼저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37.6%예요. 지구에서 100kg인 사람이 화성에 가면 ... ...
- 탐사 목표는 생명체 찾기, 목적지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영양분을 갖췄다는 점을 밝힌 것”이라고 말했어요. 화성이 생명체가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이라는 뜻이지요.다음 목표는 실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거예요. 이를 위해 퍼시비어런스가 가는 곳은 약 38억 년 전 삼각주였던 ‘예제로 크레이터’예요. 삼각주는 빠르게 흐르던 강물의 속도가 갑자기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