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산소를 생성하는 녹조류의 일종인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티(Chlamydomonas reinhardtii)로 이런
한계
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녹조류를 식물의 세포막 성분인 셀룰로오스, 간에서 유래한 세포와 혼합해 바이오 잉크를 만들고 이것으로 혈관처럼 긴 관을 만들었다. 그 결과, 간세포는 녹조류가 광합성으로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준의 노화는 개체 전체의 노화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암세포는 이런 텔로미어의
한계
를 뛰어넘어 제멋대로 분열한다. 달리 생각하면 세포 분열을 정지시키는 세포 노화가 암세포의 발생을 막는 방어 기제 역할을 수행하는 셈이다. 대부분의 암세포는 억제된 상태의 텔로머레이스를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자신의 위치와 주변 위험 요소를 인식한다. 하지만 현재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로는
한계
가 있다. 비가 오는 등 기상 조건이 나쁘거나 센서를 방해하는 요소가 나타나면 물체를 인식하는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조기춘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는 “HD 지도가 자율주행차의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지금보다 15분의 1 수준으로 어두워져야 한다”며 “빛 반사를 감소하는 것만으로는 사실
한계
가 있으므로 다른 해결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다른 해결책 중 하나는 우주 관측 데이터에서 인공위성이 반사시킨 빛을 제거하는 것이다. 인공위성이 반사시킨 빛과 멀리 떨어진 별이 내뿜는 빛의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카메라 두 대 정도 크기다. 이를 활용하면 자율주행차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한계
도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비용이 저렴한 만큼 라이다나 레이더 등 기존 시각인지 센서에 비해 획득하는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임 교수는 3차원 공간정보와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AI)으로 이를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기업 운영은 혼자 하는 일이 아니다. 당연히 사람들과 부딪히는 일이 많고, 내 역량의
한계
가 있는지 고민도 생긴다. 그때마다 나는 어떻게 하면 더 나은 리더가 될 수 있을지 꾸준히 고민했다. 동시에 내가 지치지 않으면서 팀을 잘 이끌어갈 방법을 궁리했다.여러 리더들의 인터뷰 기사를 찾아보며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50kg 정도의 로봇을 만들어야 할 정도로 작업 효율도 좋지 않죠.박주홍 교수는 이러한
한계
점을 극복할 방법으로 ‘텐세그리티 구조’를 연구하고 있어요. 텐세그리티 구조는 미국의 건축가 리처드 버크민스터 풀러가 1960년대에 만들었어요. 단단한 재질의 막대와 이를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케이블이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그는 항상 좋은 기록을 내고 싶어 했습니다. 하지만 연습만으론 기록을 향상하는 데
한계
가 있었습니다.‘과연 어떻게 하면 내 몸에 산소를 더 많이 공급할 수 있을까?’ 생각한 그는 자신의 피를 뽑아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 ‘헤모글로빈’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학 전공까지 화학으로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상대론과 양자론은 여전히 통합이 되지 못했으니 블랙홀을 푸는 일은 현대 물리학의
한계
로 남아있는 셈이다. 블랙홀은 어디에 있을까? 노벨물리학상의 나머지 반은 ‘블랙홀이 어디에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찾은 천문학자들에게 주어졌다. 1990년대 중반부터 겐첼 소장과 게즈 교수가 이끄는 ... ...
[융복합 파트너@DGIST] 나노 상자에 ‘쏙’ 담아 자동차 배기가스 없앤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등 물 분자와 반응성이 높은 환원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담그면 구조가 무너지는
한계
를 가지고 있었다.연구팀이 제작한 1가 구리 이온(Cu+) 금속유기구조체는 수분안정성이 높은 하이드로퀴논 환원제를 사용해, 공기 중 수분에 노출돼도 2년간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안정하다. 심지어 끓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