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기
여파기
filter
필터튜브
튜브
필터프레스
프레스
d라이브러리
"
필터
"(으)로 총 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조사할 때 사용하는 비파괴 검사에도 적외선이 이용된다. 카메라에 부착된 적외선
필터
는 옷표면에서 반사된 가시광선과 그 이외의 빛은 통과시키지 않고 피부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통과시킨다. 통과된 적외선은 흑백영상으로 화면에 나타난다.적외선 카메라로 인체의 내부를 보기 위해선 옷이 ... ...
Ⅰ 네개의 팔로 온갖 조화 부린다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플라스틱 그릇, 가구, 음식들에도 모두 탄소가 포함돼 있다. 뿐만 아니다. 담배의
필터
부분을 보자. 흡착성이 뛰어난 차콜이라는 까만 알갱이는 담배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유해 기체들을 흡착한다. 또 우리가 먹는 까만 설탕도 탄소를 통과하면 흰 설탕으로 바뀐다. 강이 오염됐다는 소식이 있으면 ... ...
1. 타키온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필터
를 사용해 이를 통과한 속도와 그냥 공기 속을 통과한 빛을 비교했다. 그랬더니 광학
필터
를 통과한 빛이 광속보다 1.7배나 빨리 도착했다.여기서 빛보다 빨리 진행된 것은 파속(wave packet)이었다. 양자역학적으로 해석하면 입자는 파동이 한곳에 몰려있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일반적인 파동은 ... ...
Ⅲ 약주는 곰팡이: 페니실린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막는 것이 큰 일이다. 그래서 수시로 배양기를 살균하고 이곳에 공기를 보내는 통로에
필터
를 장치함으로써 오염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최종적으로 곰팡이가 생산하는 물질을 분리하고 정제하면 순수한 약품을 얻을 수 있다. 악조건에서 버티는 생존 수단최근에는 곰팡이가 직접 만들어내는 물질에 ... ...
인간을 닮아가는 인간의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여러 파동이 겹쳐있는 것이다.음파를 분리시킬 때는 특정한 주파수의 소리만 통과시키는
필터
나, 푸리에 변환 등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제로는 주파수 스펙트럼 뿐만 아니라 선형예측계수, 켑스트럼 등 여러 가지 복잡한 기술이 사용되고 ... ...
방사성 폐기물의 실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속에서 한두달 정도 지나면 방사선은 거의 없어진다. 방사선이 거의 다 없어지면 고성능
필터
를 통해서 남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다음 배기구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대기로 방출 직전에 마지막으로 방사선 감시기를 이용해 아직도 방사성 물질이 남아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액체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프로그램의 경우 MMX 프로세서를 사용하면 실행 속도가 30% 정도 향상되는 것은 물론, 각종
필터
처리 속도도 빨라진다. 물론 이것은 MMX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에 한해 그렇다. 구형 펜티엄 프로세서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들은 일반 프로세서와 MMX 프로세서의 속도 차이가 거의 없다. ... ...
무중력 어디가 위 어디가 아래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아폴로 13'이란 영화에서 처럼 우주선 내에서는 중력의 영향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지상에서와는 다른 현상을 볼 수 있다. 어떻게 무중력 상 ... 현미경 위에 나란히 놓아 크기를 재는 기준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미세한 구멍이 뚫린
필터
를 시험하는데 쓰이는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된다 ... ...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들어온 빛의 세기는 CCD에 기록된다. 이 때 촬영된 영상의 빛은 CCD에 붙어있는 RGB색
필터
에 의해 각기 다른 색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색은 CCD를 구성하는 수십만개의 광센서(41만 픽셀의 디지털 카메라 경우 1개의 CCD에 41만개의 광센서가 붙어있다)에서 전기적 신호로 바뀐다. CCD에서 나온 아날로그 ... ...
소금이 들어간 음식이 맛있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소금이 쓴 맛을 거르고 단 맛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소금이 일종의 맛
필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이전에 발표된 연구들에 따르면 소금은 오직 짠 맛 자체일 뿐, 다른 맛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존재였다. 그러나 연구진은 이같은 결과에 의문을 품고 21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