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d라이브러리
"
측면
"(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능이 다릅니다. 너무 단순하고 인공적이라 실제와는 거리가 멀죠. 다만, 알고리듬
측면
에서 활용할 여지는 많아서 공학에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이 씁니다.”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인공신경망을 실제 뇌에 비교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인공신경망도 이런 한계 때문에 주식 ... ...
Part1. 뇌 vs 컴퓨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컴퓨터도 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낸다. 이 둘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하드웨어
측면
에서 뇌와 컴퓨터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Part5. 이사하는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지만 이런 설명은 아직까지 추측일 뿐이다(종이를 계속해서 접을 수 없는 이유를 소재
측면
에서 이해하려면 과학동아 2011년 1월호 ‘꿈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 기사 참고).양배추 속 벌레는 안을 조금만 돌아봐도 자신에게 필요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둘러싸고 있는 잎의 굴곡을 통해서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계획이다.펩타이드 백신이 가장 많아백신은 어떻게 만들까. 암치료백신은 방법적인
측면
에서 펩타이드 백신, DNA 백신, 수지상세포 백신, 종양세포 백신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항원의 펩타이드를 넣어 만드는 펩타이드 백신을 가장 많이 쓴다. 앞서 소개한 스티무백스도 MUC1의 펩타이드를 이용해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물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생명의 보금자리가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하지만 농사
측면
에서는 아직 이점을 찾지 못했다.“오히려 농민들은 ‘논이 죽이 된다’며 싫어하더라구요.”일본과 달리, 우리나라의 논에서는 웅덩이에 받아둔 물이 서서히 흙에 스며들며 섞여 이웃한 논을 질퍽하게 ... ...
[2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등 다양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공황 장애에 대한 설명과 뇌과학적
측면
만 다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다시 말해 공황장애 현상을 전반적으로 다루려고 하다 보니 구체적인 주제에 도달하지 못하고 늘여서 설명하는 데만 집중했다는 것이다. 공황 장애를 극복하는 방법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에서 오는 빛으로 주로 넓은 무대에서 인물의 위치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측광인물의
측면
을 밝게 하고 입체감을 표현한다. 밝고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크게 낼 수 있어 강렬한 인상을 만들 수 있다.순광인물의 정면에서 들어오는 빛으로, 밝기 조절이 쉽지만 입체감을 표현하기가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작은 꽁무니뼈도 있답니다. 꽁지깃에 있는 이 꽁무니뼈는 공기역학적 효과와 실용성
측면
에서 작은 돌기모양으로 변한 거예요. 하늘을 나는 새에 있는 부채꼴로 늘어선 꽁지깃에는 작은꽁무니뼈가 있어요. 또 최근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연구팀은 3억 6천만 년 전의 펭귄 화석을 연구해 우리 조상이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모범적인 학생이지만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마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힘들어 하는
측면
이 있음. 스스로 단점을 알고 개선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어 더 큰 성장이 기대됨’ 이 학생은 교과학습 발달 상황이나 창의적 체험 활동 내용 등을 참고해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양 단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고양이의 시각 중추인
측면
슬상핵 표면을 자극하자 고양이는 특정 영상을 보고 있다고 인식했다. 심지어 연구팀은 고양이가 보고 있는 영상을 읽어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내기도 했다. 이 기술이 가능한 이유는 망막에 분포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