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외계생명체 보기엔 너무 일찍 태어난 지구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이 존재하는지는 인류의 오랜 관심사였다. 그런데 미국의 한 연구팀이 그런 외계행성이 설사 존재한다고 해도 대다수는 아직 만들어지지 ... 우주 팽창으로 인해 이 증거들이 다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10월 20일 ‘왕립
천문학
회지’에 실렸다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이후에 신성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의
천문학
자들은 백조자리 V404 주위를 6.5일 주기로 공전하는 별이 있는데, 블랙홀이 이 별의 가스를 빨아들이며 X선을 내뿜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기술 전문 온라인 매체인 피스오알지(phys.org)가 11월 5일 ... ...
태풍보다 20배 센 외계행성 바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천문학
자들이 처음으로 외계행성의 기상을 관측했다. 영국 워릭대 천체물리학그룹의 탐 라우든 박사팀은 여우자리에 있는 외계행성 ‘HD 189733b’ 표면에서 초속 2.4km의 강풍이 불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11월 1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칠레 라실라관측대에 있는 ... ...
천문학
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발전에 미친 영향력은 단순히 역법체계 구축에서 끝나지 않는다. 김담은 조선의 관측
천문학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604년 조선 일관들의 초신성 발견과 김담을 연관지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세종은 1449년 말에 혜성이 나타났다는 보고를 받고 이순지와 김담에게 혜성을 관측하라는 ... ...
[과학뉴스]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불소는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생성과정이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미국 인디애나대와 유타대 공동 연구팀이 초신성이 폭발할 때 ... 없었다면 인류가 충치로 골머리를 앓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 8월 10일 자에 실렸다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하지만 원나라와 조선은 해와 달이 뜨는 시간, 지는 시간, 별의 위치 변화 등 모든
천문학
적 수치들이 달랐다. 수시력법을 조선에 적용하기엔 오차가 너무 컸다. 이에 세종은 처음으로 조선의 달력을 만들라고 지시했다. 문제는 조선에 맞는 역법을 만들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학 계산이 필요하다는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하지만 이 시계는 폭풍이 몰아치거나 배가 심하게 흔들릴 때 오류를 일으키고 말았다.
천문학
으로 시간을 알려던 사람들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독일의 요하네스 베르너는 달이 움직이며 고정된 별을 스쳐 지나가는 시간을 재서 항구와 배의 시간 차이를 알아내자고 했다. 하지만 별의 위치를 제대로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HFT 전략은 ‘차익거래’다. 앞서 소개했던 시타델, 버추얼 파이낸셜 등이 이 방법으로
천문학
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다. 게다가 이 거래는 아직까지는 합법이다.다시 중고차 시장으로 돌아가서 이번에는 친구와 함께 중고차를 사러 갔다. 미리 인터넷으로 검색했더니 맘에 드는 차가 여러 매장에 100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
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돌고 있는 행성도 많다(태양계 행성처럼 궤도가 원인 행성이 오히려 드문 편이다).미국의
천문학
자 칼 세이건은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의 에필로그에서 “우리는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종(種)으로서의 인류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계행성 탐사는 어쩌면 다른 생명체를 찾는 목적보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