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기"(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리터러시] 개인정보, 도대체 어디서 훔치는거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한번 유출된 개인정보는 명의 도용이나 보이스피싱 등에 사용돼 금전적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집 주소나 전화번호는 유괴 등 각종 범죄에 활용될 수도 있지요. ‘개인정보 침해’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SNS를 이용할 땐 개인정보 공개나 활용에 신중해야 해요.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180°라는 점이 사인함수, 코사인함수와 다릅니다. 3 푸리에 급수와 변환 푸리에 급수는 주기가 있는 파동을 여러 개의 사인과 코사인함수의 합으로 최대한 비슷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푸리에 변환은 신호를 푸리에 급수로 나타낸 뒤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그래프로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때에는 이처럼 대기에서 반사하는 빛이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외계행성의 밝기 주기를 보면 대기의 존재를 알 수 있고, 이를 빛의 파장에 따라 관측하면 대기를 구성하는 성분까지도 좀 더 상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들이 특정한 파장의 빛만 선택적으로 흡수하기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 토종동물 보호소를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20년, 백로가 들어온지 20년이 흘러서야 우리는 백로를 자연으로 다시 돌려보내주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백로는 여름 철새로, 그동안 동물원에서 추운 겨울을 힘들게 견뎌내고 있었거든요. 또 거대한 물새장 안에서 날며 스스로 먹이를 잡아먹는 데 익숙했으므로, 자연에 나가 적응할 수 있다고 ... ...
- [수학뉴스] AI로 환생한 라마누잔 수학 상수를 공식으로 나타내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추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이 이용한 AI는 라마누잔이 세상을 떠난 100주기를 앞둔 2019년에 개발된 ‘라마누잔 기계’입니다. 라마누잔 기계는 라마누잔처럼 수학 상수를 공식으로 나타낸 추측을 만듭니다.연구팀은 먼저 상수를 연분수 꼴의 공식으로 나타내기 위한 분자, 분모로 가능한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퍼져있는 y값을 일정 범위 안의 값으로 변환해 주기 위해서입니다. 그 중 ‘시그모이드 함수’는 자연상수(e)를 사용한 함수로 그래프가 S자형 곡선입니다. y의 값이 0부터 1 사이에 존재한다는 특징을 갖죠. 이 함수에 앞서 구한 가중치 함수 H(x)=wx+b를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조석력의 영향이 커져 ‘조석고정’이 일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행성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일치하는 조석고정이 발생하면 행성의 한 면은 영원한 낮이, 반대쪽은 영원한 밤이 지속됩니다. 이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구역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K형 주계열성 혹은 질량이 작은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mRNA, 단백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김 교수는 “멀티오믹스를 활용하면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각 기관과 조직별로 정확한 유전체 지도와 단백체 지도를 만들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근에는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미국국립보건원(NIH) 국립암센터(NCI)에서 주도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을 막아줘요. 이 때를 ‘양의 북극진동’이라고 해요. 그런데 수십 년이나 수십 일 주기로 이 제트기류가 약해질 때가 있어요. 풍선의 주둥이가 느슨해지면 바람이 빠져나오듯,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북극의 찬 공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가요. 제트기류가 약해지는 때를 ‘음의 북극진동’이라고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이렇게 플라스마가 만들어집니다.이때 소리가 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전류를 매우 짧은 주기로 흘렸다 끊었다 해주면 전기 에너지의 변화가 고스란히 플라스마의 압력 변화로 이어져서 그 변화에 맞춰 공기가 진동하기 때문입니다.일반적인 스피커는 전기 신호가 고체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