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합금으로 균일한 그래핀을 얻는 데 성공한 것이다.그래핀의 층수는 메탄의 농도로 조절할 수 있었다. 메탄의 농도가 높을수록 메탄에서 분해되는 탄소 원자의 양이 많아져 그래핀의 층수가 높아진다. 메탄의 농도가 0.01%일 땐 1층, 0.03%일 땐 2층, 0.06%일 땐 3층, 0.1%일 땐 4층 그래핀이 생겼다. 이번 ... ...
- [한페이지 뉴스]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확인했다. 그 결과, 금붕어들은 앞서간 금붕어가 만들어낸 소용돌이에 따라 움직임을 조절해 에너지를 최대 15% 절약할 수 있었다. 이언 쿠진 막스플랑크 동물행동연구소 소장은 “물고기가 이웃과 헤엄 방식을 맞춰 유체의 흐름을 활용한다는 것은 로봇 실험 전에는 결코 알 수 없었던 결과”라고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 있는 서울 대림동을 직접 방문해 소품을 구했답니다.방을 완성하고 난 뒤엔 난이도를 조절해야 해요. 저는 방 탈출을 많이 해봤기 때문에 문제의 난이도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없거든요. 그래서 방 탈출 입문자와 많이 해본 사람들을 고루 섞어 이틀에 걸쳐 10팀에게 테스트를 받아요. 그리고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가는 바닷길에 올랐지요. 이때 배 2층 전체를 완전히 격리하고, 공기 흐름 밸브를 조절해 2층의 공기가 다른 층으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했어요. 격리기간 동안 선원들의 동선도 모두 분리해 안전히 귀국할 수 있었지요. 2020년 4월 7일 연구 종료 후 리틀톤항으로 이동 중 림스커버러호 귀국 요청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투렛 증후군 환자들의 사례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투렛 증후군은 스스로 조절하기 힘든 무의식적 반복 행동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투렛 증후군 환자 중 10%는 욕을 불쑥불쑥 내뱉는 강박적 외설증을 앓고 있다. 이들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결과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연결된 움직이는 로버예요. 휴대용 생명 유지 장치의 핵심인 공기 정화 장치, 전력, 열 조절 장치 등을 싣고 있어요. 무거운 등짐을 자동 카트에 실었다고 상상하면 되겠네요. 올해 NIAC 2단계에 선정된 ‘바이오봇’은 개발을 거쳐 미국의 나사 존슨 센터에서 작동 시연 실험을 거칠 예정이랍니다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환청 등의 지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2019년 김세윤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뇌 활성을 조절하는 ‘이노시톨 대사 효소’를 제거하면 공포 기억을 없앨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밝혔다.연구팀은 먼저 이노시톨 대사 효소가 없는 유전자 변형 쥐를 만들었다. 그 다음 강한 소리와 함께 전기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각으로 날려야 가장 잘 튕길지 예상하기가 어려웠습니다.그래서 입사각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계를 설계했습니다. 사람의 팔 동작을 생각하면서 말이죠. 사람이 돌을 던질 때 입사각에 영향을 끼치는 건 크게 세 개의 관절입니다. 팔 전체를 움직이는 어깨 관절, 아래 팔을 움직이는 팔꿈치 ... ...
- [독일유학일기] 교육의 기회는 동등 학비 부담없는 독일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등이 종류가 다양하고 저렴하다. 또 독일은 한국과 다르게 국가에서 농산물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매번 비슷한 종류의 식품을 산다면 생활비 변동이 없다는 뜻이다. 외식을 최소로 하고 주로 집에서 밥을 해 먹는다면 한 달 ...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나가지요. 이를 ‘증산작용’이라고 한답니다. 이 증산작용은 기공이 열렸다 닫히면서 조절돼요. 기공이 많이 열릴수록 수분이 많이 배출된답니다. 그런데 문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식물은 기공을 조금만 열어도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러면 기공으로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