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천
지원군
물자
리소스
자원병
지원병
물품
d라이브러리
"
자원
"(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 제주수학축전에 빠져들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학생들이 어떻게 하면 다양한 수학 체험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며 시작한 것이 어느새
자원
봉사자만 수백 명에 달하는 거대 행사로 발전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교사와 학생이 먼저 행사를 자발적으로 시작하고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에서도 벤치마킹하는 우수 사례로 꼽힌다. 1회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대학원에서 경남 하동의 중생대 악어 두개골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 지질박물관에서 근무하며 고생물 분야에서 전시 및 교육 콘텐츠 개발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경기 화성시의 지원으로 발족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참여(2008년 3차 탐사)를 계기로 매년 몽골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자원
개발 분야에서 성과를 냈다. 한 예로 2012년~2018년 인도네시아와 호주 광구에서
자원
개발 기술을 연구하는 대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시추장비들을 광구까지 운반할 도로도 없는 척박한 환경에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라는 마음으로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현지인에게 ‘보스’라 불린 해양과학자이번 캠프를 이끈 박흥식 KIOST 해양생물
자원
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웨노섬 현지인들에게 ‘보스(boss)’로 불린다. 2000년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설립 당시부터 이곳에서 열대해양의 생물 연구에 몸담아 온 터줏대감이기 때문이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동안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지도가 잘못된 게 아닐까 해서 몇 번을 다시 봤지만 여기에 보물이 있는 게 맞는 것 같아. 아! 지도 밑에 주의사항이 적혀 있네? ‘조상의 지혜 ... 당장 과학적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쓸모를 찾기 위해서만은 아니에요. 미래에 생물
자원
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투자이기도 하답니다 ... ...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환경연구관), 차형준(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백진욱(국립해양생물
자원
관 분류연구실 선임연구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Part1.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Part2.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Part3. 지구 지킴이가 된 바다의 ... ...
[과학뉴스] 화학약품 안 넣고 가습기 물 소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제거했고, 20시간 연속으로 운전해도 살균 성능이 유지됐다.교신저자인 홍석원 KIST 물
자원
순환연구센터장은 “사회적 문제가 됐던 가습기 살균제나 수영장 소독약 등 화학약품 없이도 물을 완벽히 살균할 수 있다”며 “앞으로 유해 화학약품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물을 살균·소독해 쓸 수 있을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향후 단층의 이동 방향과 지진 발생 가능성도 추론할 수 있습니다.2016년 김성원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 지질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1억3500만~65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에 만들어진 심성암을 정밀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한반도의 지구조 운동 모델을 새롭게 제시했고, 동시에 과거 한반도의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한국이 유인 잠수정 기술까지 확보한다면 우리가 가진 광구와 해역의 심해
자원
을 탐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형 센터장은 “해미래를 이용한 탐사가 경제적으로 의미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유인 잠수정을 개발해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며 “해미래를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개발한 안드레아 크리산티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생명과학부 교수는 “많은 노력과
자원
투입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는 지난 20년 동안 처음으로 말라리아 발병 사례가 전년대비 감소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말라리아와의 싸움에 더 많은 도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모기 박멸 시 생태계 교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