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정
노정
여로
역정
유람
여행
정도
d라이브러리
"
여행길
"(으)로 총 65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난자와 정자, 배아, 줄기세포…. 최근 아주 많이 들어 본 말일 거예요.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말들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아요. 난자와 정자, 배아, 줄기세포가 자라서 우리가 만들어졌는데도 말이죠. 처음에 우리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두 개의 세포였어요. 엄마에 ... ...
2008년 4월 한국 최초의 우주인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을 찾습니다! 직접 가보기 전엔 우주는 그저 상상이지만 당신에겐 더 이상 우주는 상상이 아닙니다!” 드디어 한국인이 우주를 방문할 수 있는 길이 처음 열렸다. 지난 4월 21일 과학의 날부터 한국 최초의 우주인 모집이 공식적으로 시작됐기 때문이다. 과학기술부와 한국 ... ...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지 난 해 10 월 중국 항저우를 방문했을 때 중국인 교수가 내게 한국에 관한 놀라운 얘기를 하나 해줬다. 그 교수는 내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으로 재임하고 있다는 소식을 막 들었고, 내 과학적 연구 성과를 수년간 알고 있던 터라 내가 자발적으로 한국에 갔다는 설명에 적지 않게 놀랐다.그는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게 제 보물 1호입니다.”한국천문연구원 박석재(49) 원장은 가장자리가 너덜너덜해지고 누렇게 색이 바랜 소책자를 내밀었다. 여태까지 누구에게도 공개하지 않았던 것이라며 조심스럽게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책의 내용을 보여줬다. 그의 손길에는 책에 대한 애정을 넘어 약간의 경외감이 묻어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눈과 얼음의 나라 북극과 남극은 결코 쉽게 갈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16세기 유럽인들은 북극 탐험에 나섰고, 이보다 늦은 18세기에서야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남극권 항해에 성공하기까지 수많은 도전과 실패가 있었습니다. 영하의 추위와 가혹한 극지의 환경은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했지요.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986 년 1월 1일, 전국 서점에 새로운 잡지가 한 권 진열됐다. 표지에 핼리혜성이 지구를 지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바로 과학동아 창간호였다. 올해로 과학동아는 창간 20주년을 맞았다. 지난 20년 동안 과학동아는 한국에서 과학대중화의 씨앗을 심고 물과 거름을 줬다. 어느새 그 씨앗들이 열매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전 세계 어린이들을 열광하게 만든 조앤 K. 롤링의 해리포터 시리즈를 알고 있지요? 우리가 늘 꿈꾸던 마법의 세계를 기발한 상상력으로 실현해 낸 책으로 영화로도 만들어져 엄청난 해리포터 유행을 낳았어요. 올 겨울 드디어 해리포터 시리즈의 네 번째 영화 ‘해리포터와 불의 잔’이 개봉했습니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나의 이메일친구 반달곰이 겨울잠을 자러 간다고 한 동안 연락을 못할 것 같대요. 겨울에는 이렇게 밥도 먹지 않고 화장실도 안 가고 잠만 자는 시기가 있다나요? 겨울잠이 유행인지 다람쥐 친구도 개구리 친구도 모두 겨울잠을 자러 간다고 연락이 왔어요. 아무것도 안 하고 잠만 잔다니! 왠지 멋진 ... ...
315일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세계적인 발명가‘돈 데니 다맹글러’가 우주여행을 할 수 있는 우주선을 만들었다. 가장 먼저 우주선 탑승의 영광을 얻은 것은 바로 썰렁 홈즈.저 찾아갈 곳은 안드로메다은하에 위치한 PT-28 이라는 행성이었다.우주여행의 부푼 꿈을 안고 우주선에 오른 썰렁 홈즈. 과연 우주여행은 순조롭게 이루 ... ...
GPS 뺨치는 정확성과 휴대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만약 지도가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가까운 거리는 문제없겠지만 어디 먼 곳이라도 가려면 엄청난 시행착오를 거쳐야 할 거예요. 한눈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멀리 있는 곳도 잘 찾아갈 수 있게 해 주는 지도 덕분에 우리는 세계 곳곳을 손쉽게 다닐 수 있게 되었습니다.지도는 무엇보다 정확해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