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언어"(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코딩’을 통해 만들어진답니다. 코딩은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걸 말해요. “뚜루뚜루에게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예요. 명령어가 적힌 카드를 로봇의 입에 넣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연결해도 되지요. 눈을 가린 친구에게 ‘옆으로 세 걸음’, ... ...
- [편리함] 로봇으로 공항 길찾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카운터’, ‘체크인’ 등 공항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를 중심으로 반복적인 언어 학습을 시켰어요. 그리고 주변의 소음을 제거하는 전처리과정이 더해진 결과, 68dB의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이용자의 목소리를 잘 알아들을 수 있답니다.”자율주행 기능도 뛰어나요. 에어스타는 몸 곳곳에 라이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의 기본, 알고리즘을 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알아볼 수 있게 기호나 도형으로 나타내요. 그리고 알고리즘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 컴퓨터에 입력하는 작업을 ‘코딩’이라고 한답니다.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따라 순차와 반복, 조건 등으로 나눌 수 있어요. 우선 ‘순차’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명령을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얼마나 중요한가요? 저에게 수학을 한마디로 표현하라고 하면, ‘규칙을 서술하는 언어’라고 말할 겁니다. 게임이라는 것 자체가 규칙의 모음이기도 하고, 그 외에도 ‘입력을 받으면 어떻게 한다’든지 ‘그래픽이나 음악을 이렇게 표현한다’든지 갖가지 규칙을 컴퓨터가 알아듣게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쉽지 않다. 우선 긴 글 자체에 대한 심리적인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 요즘 학생들의 언어적 소통은 짧고, 간편하고, 단순하다. 이모티콘 하나로도 서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모두 전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시대다. 이를 부정하거나 다그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이런 소통 방식이 학문적 소통과는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 마지막으로, 작가님에게 수학의 매력이란? 수학은 가장 오해의 소지가 없는 언어이자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경제학은 권위에 의지하는 면이 조금 있는데 수학은 권위나 지위와는 아무 상관 없이 정답은 정답이고 오답은 오답일 뿐이죠. 그런 점에서 수학은 여러 학문 중에서도 순수함이 가장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말했다. 코딩에 대해 ‘1도 모르는’ 학생들에게는 어려운 일이 아닐까. 물론 코딩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가르쳐 준다. 하지만 학원에서 하는 것처럼 다양한 기능을 배운 뒤 반복적으로 실습하면서 익히는 방식이 아니라 문제를 풀면서 하나씩 배워나가도록 하고 있다. 박 교장은 “코드를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때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7%, 음조, 억양, 크기 등의 목소리가 38%, 표정이나 몸짓의 비언어적인 태도는 55%에 달한다고 말했다”며 “단지 표정을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선의 방향, 행동인식, 목소리 인식 기술 등이 모두 함께 발전해야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못하면 향후 연구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더해 외국 과학자들은 언어적인 문제를 포함한 문화 차이 때문에 초기에 주변의 도움이 없이는 학교생활을 해나가기가 어렵다. 초기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른 교수들뿐만 아니라 연구팀 팀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수다. 이를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인류의 뇌 크기는 사회적 요인보다는 생태학적 요인에 의해 진화했다”며 “이와 함께 언어, 교육 등 문화적인 이유가 인간의 뇌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존 호크 미국 위스콘신대 인류학과 교수는 2011년 과학잡지 ‘디스커버’에서 뇌가 최근 2만 년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