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종자
자손
뿌리
근본
혈통
정자
d라이브러리
"
씨앗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불구하고 황금비라고 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비율이 생활 곳곳에서 발견된다. 꽃잎이나
씨앗
의 배열과 같은 자연은 물론 예술과 건축 작품에서도 이 비율을 발견할 수 있다. 황금비는 어떻게 발견된 것일까?황금비의 역사는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수에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기 때문에 물속에서도 살 수 있다.맹그로브는 태생식물인 것으로 더 유명하다. 열매(
씨앗
)가 익으면 그냥 떨어뜨리는 보통 나무와 달리, 맹그로브는 열매를 모체에서 한동안 더 키운 뒤 거기서 싹이 트고 뿌리가 나면 떨어뜨린다. 나무줄기에 싹이 터서 그 자리에 바로 새로운 나무줄기가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맺은 채 잔치에 왔다. 박주가리는 깃털처럼 하얀 실타래가 달린
씨앗
잔을 들었다.
씨앗
은 길이 6~8mm에 뒤집어 놓은 달걀처럼 생겼다. 하얀 실타래가 달린 덕에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들국화 위에 걸린 거미줄이 비에 흠뻑 젖었다. 알알이 맺힌 물방울 안에 들국화가 한 송이씩 피어 있는 듯하다.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씨앗
에서 추출한 방향유의 주성분인 (+)카본은 향신료 특유의 알싸한 향이다. 캐러웨이
씨앗
을 뿌려 구운 호밀빵의 향을 생각하면 된다.서로 거울상인 점만 다를 뿐인데, 그 향에서 이처럼 큰 차이가 난다. 감귤류의 주성분인 리모넨은 좀 더 미묘한 차이가 난다. 즉 (+)리모넨은 오렌지 향의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먹이를 뼈째 씹어 먹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외에도 배설물 화석 안에 든 식물의
씨앗
으로 당시 식물 생태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이 순간에도 세상 어디선가에는 동물이 만든 배설물이 바짝 마른 채 보존돼 현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과 동식물에 대한 정보를 미래에 전해줄 것이다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청포도로 담아 깔끔하고 드라이한 맛을 자랑하는 화이트와인은 포도를 으깰 때 껍질과
씨앗
을 걸러내 떫은맛을 피한다.두 차례 발효를 거친 와인은 오크(참나무)로 만든 둥근 통에 담겨 시원하고 어두운 창고에서 숙성된다. 발효 과정 동안 생긴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고 공기가 천천히 들어가면서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우와! 이게 정말 달에서 가져온 돌이에요?”지난 10월 15일 찾은 대전 국제우주대회 행사장. 월석(月石) 주변에 몰려든 학생들이 떠들썩한 목소리로 감탄사를 연발한다. 이들은 호기심에 가득 찬 눈으로 까치발을 한 채 월석 여기저기를 들여다보느라 정신이 없다. 무게 4.731kg, 모래와 흙이 박혀 있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개발할 때는 먼저 암술에 수술의 꽃가루를 묻혀 교배하고 새로운 종자를 만들어요. 이
씨앗
을 심고 6~7년에 걸쳐 재배하면서 꽃송이의 개수, 줄기 형태 등을 꼼꼼히 관찰하지요. 이런 기준을 통과해 품종으로 뽑히면, 가지를 잘라 심고 키우는 거예요. 장미 색의 비밀장미는 꽃송이가 작을 때 색이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복합체로 글리아딘(gliadin)과 글루테닌(glutenin)이라는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밀알도 다른
씨앗
처럼 배와 배젖, 속껍질로 이뤄져 있다. 배는 식물로 자랄 부분이고 배젖은 싹이 광합성을 할 때까지 영양을 공급한다. 밀알의 배젖은 탄수화물인 전분과 단백질이 엉겨 있는 상태로 싹이 트면 이들을 ... ...
구름 탄생의 기원 ‘우주선’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떨어져 나가 이온화되는데, 이온화된 물방울이 주변 물방울을 당겨 구름을 만드는
씨앗
이 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포부시 감소 현상이 나타나면 우주선이 감소해 구름도 잘 형성되지 않는다. 반대로 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구름이 잘 만들어지는 셈이다.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