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QR 코드들을 손으로 따라 그린다면 기기는 코드를 인식할 수 있을까요? 이번 영상에선
실험
결과와 함께 바코드 속 과학을 알려 드립니다! 반려견과 공원 산책할 때 꼭 보세요! 조회 수 : 7.1만 회채널명 : 강형욱의 보듬TV (구독자 수 : 139만 명) 반려견 훈련사 강형욱과 함께하는 공원 산책 방법 ... ...
[DATA MATH]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위해서 소행성의 공전주기, 속도, 운동량을 이용한 계산하고 소행성의 움직임을 3D 모의
실험
으로 만들었어요. 앞으로도 DART 팀은 디모르포스를 계속 관찰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소행성에 관해 자세히 연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가운데엔 수학자가 있습니다. 과연 수학자는 DART 팀에서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주로 코딩을 하거나 소행성 충돌과 같은 물리적 사건의 모의
실험
을 진행해요. 또 지하 핵
실험
같은 폭발이나 이로 인해 형성되는 분화구들을 연구합니다. 학생들을 지도하고 프로젝트를 함께하기도 하지요. Q ─ 대학원 때 소행성 이외에도 약물 중독을 연구했는데, 이 연구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발견되지 않은 이유가 관측 방법을 제대로 모르는 데서 비롯된다고 보고 새로운
실험
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웜홀을 둘러싼 강착원반을 이론에 따라 시뮬레이션하고 그곳에서 방출되는 빛을 분석했다. 강착원반은 웜홀이나 블랙홀 주변 물질들이 굉장히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원반 모양으로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그도 그럴 게, 앞서 유 독자위원이 말한 일본 도쿄대의 순간이동
실험
역시 양자전송을 한 사례다. 2006년 일본 도쿄대와 영국 요크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양자전송을 통해 레이저빔을 2km 떨어진 곳으로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얽힘 현상을 검증하고 양자컴퓨터 등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거든요. 이후 WCM 필름의 유무에 따른 일본 잎갈나무 묘목 등의 성장
실험
을 했어요. 그 결과, 일조량이 많은 여름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햇빛이 약한 겨울에는 WCM 필름을 사용한 식물이 63일간 높이는 1.2배, 무게는 1.4배 더 성장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쇼지 스나오 ... ...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튀김의 역사도 소개하게 됐어요. Q요리사와 과학자의 공통점이 뭔가요?요리와 과학
실험
모두 계획적이고 통제된 과정을 통해서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똑같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통 요리에서 해왔던 경험적인 부분을 과학적인 원리로 밝혀내고 분석해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소행성에 충돌하는 상황을 모의
실험
을 통해 검증하는 역할이지요. “저는 주로 3D 모의
실험
을 도맡았어요. 소행성이 무슨 물질로 이뤄져 있느냐에 따라 충돌했을 때 양상이 달라져요. 그래서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해서 소행성의 물질적 특성을 정확히 알아내야 해요. 이를 위해서는 여러 테스트와 ... ...
[과학뉴스] 인공 망막에 찾아온 노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구상체)로 노화성 황반변성(AMD)의 병리학적 변화를 밝혀 12월 1일 발표했다. 오가노이드
실험
결과, 정상적인 망막과 달리 황반변성이 진행 중인 망막은 광수용체 세포가 상당 부분 손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수용체 세포는 빛을 생물학적 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 황반변성이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있다면 원리적으로 물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하지만 현재
실험
실에서 구현하는 양자전송은 하나의 입자가 가진 2차원 양자상태를 전송하는 수준”이라고 했습니다. “대규모 양자전송을 구현하더라도 물체를 찰나에 전달하는 순간이동과는 다릅니다. 왜냐면 상대성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