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류"(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다. 바로 나비다. 미국 듀크대 연구팀은 비블리스아과와 호랑나비과 등 총 4개의 분류군에 속하는 검은 나비 14종의 빛 반사율을 조사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20-15033-1연구팀이 이들 나비의 날개에 500nm 파장의 가시광선을 조사한 ... ...
- [헷갈린 과학] 산딸기 vs 복분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 중 ‘coreanus’는 ‘한국에서 난다’는 의미로, 복분자딸기는 우리나라 특산 나무로 분류된다. 복분자는 비타민A와 C, 미네랄이 들어 있어서 예부터 몸에 좋은 과일로 잘 알려졌다. 병약했던 사람이 스님의 권유로 복분자를 부지런히 먹었고, 이후 소변 줄기가 요강을 뒤엎어 버릴 만큼 건강하고 ... ...
-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대단한 데이터 맛집이 정말 많쥬? 데이터만 있으면 어떤 요리도 만들 수 있어유. 게다가 요리는 달라도 기본적인 요리 도구와 순서는 크게 다르지 않아서 여러분도 ... 그러면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기계학습 알고리듬이 자동으로 어떤 데이터인지 분류하거나 예측할 수 있습니다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주변 픽셀과의 관계를 추가로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가령 특정 픽셀이 바다로 분류됐는데, 주변 픽셀이 모두 해빙이라면 이는 바다가 아니라 표면이 평평한 해빙일 확률이 높다. 또 밝은 픽셀과 어두운 픽셀이 띠 형태로 번갈아 나타나면 파도가 치고 있는 바다일 확률이 높다. 이렇게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라는 이름을 붙였고, 유리를 ‘비결정질(또는 무정형) 고체’라는 특별한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비결정질 고체에는 우리가 먹는 엿도 포함돼 있다. 유리 입자 움직임 들여다 본 인공지능비결정질 상태인데도 입자들이 움직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 유리는 기본적으로 용융된 액체 상태의 유리를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온 외계인 보고서박상준 지음 | 을유문화사 | 336쪽 | 1만5000원 SF(Science Fiction) 장르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어떤 소재가 필요할까. 지구를 파멸시키려는 외계인? 듣도 보도 못한 최첨단 발명품?SF란 이름이 생긴 건 족히 100년은 넘었지만 그 정의에 대한 논쟁은 아직 진행 중이다. 날고 긴다고 하는 ...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알고리듬은 그 자체가 하나의 예측 모형으로, 데이터를 여러 단계의 질문을 거치면서 분류하는 기법입니다. 그 방법이 마치 나뭇가지 모양과 비슷해서 의사결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모형으로 특정 사용자가 앞으로 4주 이내에 게임에서 이탈할지를 얼마나 정확하게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나이 들어도 변하지 않는 ‘피터팬 원반’ 발견극히 일부의 후보 천체에 대한 분류만 이뤄졌음에도 천문학자는 시민천문학자의 도움으로 놀라운 발견을 했습니다. 바로 ‘피터팬 원반’을 발견한 것이죠. 피터팬 원반은 일반적인 원시행성계 원반보다 훨씬 오래된 원반을 말합니다. 보통 ... ...
- [만화뉴스] 항문 주름 인식 중…, 당신의 똥을 분석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알아낸 뒤, 장 건강을 확인하는 데 쓰이는 ‘브리스톨 분류표’에 따라 대변을 7가지로 분류해요. 이를 통해 배변 장애, 항문 출혈 등이 있는지 확인하죠. 또, 소변이 떨어지는 속도와 양을 측정해 남성의 전립선 질병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이뿐만이 아니에요. 변기 속에는 포도당과 적혈구 수치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식별할 수 있을 거예요.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모든 이미지에서 산호를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호 파괴의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찾아내고 피해를 줄일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용어정리mbb/g: 게임당 딴 돈이 베팅한 돈의 몇 배인지 확률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