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족점"(으)로 총 2,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나는 아무 음악이나 듣지 않아. 누구나 아는 인기곡은 싫어하고 아무도 모르는 인디음악★을 좋아하지. 누구보다 빨리 좋은 노래를 찾는 게 기뻐. 나처럼 유행을 거부하지만 유행을 이끌려는 사람을 ‘힙스터’라 부르더군. 때로는 허세라고 비난받지만 상관없어.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국의 발명가 로버트 고다드는 ‘지구에서 달까지’라는 쥘 베른의 과학소설을 읽고 세계 최초로 현대식 로켓을 만들었다. 6만 번이 넘는 시행착오 끝에 1926년 3월, 52m 정도 떨어진 곳까지 로켓을 날리는 데 성공했다. 비행시간은 2.5초였다. 고다드 이후 16년 만에 200km를 날아가는 로켓이 개발됐고,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봄이 오면 가장 이기기 힘든 것이 있다. 바로 스르르 감기는 눈꺼풀이다. 어젯밤 잠이 부족한 걸까. 사실 사람마다 필요한 잠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으로 너무 많이 잤다거나 잠이 부족하다고 정의할 수 없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은 개인이 느끼기에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경우, 자연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현재 개나 고양이가 아닌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데 사이테스(CITES)라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면, 당신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불법을 저지르고 있을지 모른다. 바로 사이테스 신고 때문이다.기자도 몰랐던, 그래서 직접 경험해 본 사이테스 이야기를 지금 시작한다.인정한다. 충동적이었다는 것을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찰스 다윈은 맹장, 정확하게 말하면 맹장 끝에 붙어 있는 작은 돌기인 ‘충수’가 있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론을 세웠다. 그는 유인원의 먼 조상은 잎사귀를 먹고 살았기 때문에, 섬유소를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사는 큰 맹장이 필요했다고 가정했다. 시간이 지나 유인원의 조상들은 소화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날씨가 춥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이 되면 많은 동물이 겨울잠을 잔다. 곰, 다람쥐, 박쥐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인류의 사촌인 영장류 중에도 겨울잠을 자는 종이 있다.바로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다.일년 365일 영장류 생각만 하는 필자 같은 학자들도 접할 때마다 놀라는 사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직접 말과 교감하다!위니월드는 과천 ‘렛츠런 파크 서울’ 안에 있는 테마파크예요. 말과 교감할 수 있는 ‘웨스턴 타운’과 다양한 롤플레이 체험을 할 수 있는 6개의 테마 존이 마련돼 있지요. 롤플레이는 소방관, 수의사, 영화배우 등 다양한 직업을 체험하는 걸 말해요.기자단 친구들이 처음 찾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난 해 10월 말 천안 봉강천에서 처음 발견된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겨울 내내 말썽이다. 11월 16일 충북 음성에서 가금류가 감염된 것이 처음 발견된 뒤, 충남과 충북은 물론 경기도와 전북, 전남, 경남 등 전국으로 거세게 퍼지고 있다. 1월 12일 현재까지 살처분된 닭과 오리 등 가금류가 3170만 마리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적정기술은 개발도상국을 위한 쉬운 기술, 수준 낮은 기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적정기술은 ‘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사회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의미로, 첨단 기술도 포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된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현재 점점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주사위를 굴려 미뉴에트를 작곡했고,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은 자신의 곡을 연주자가 무작위로 골라 연주하도록 했다. 이처럼 창작에 우연을 도입한 음악을 ‘우연성 음악’이라고 한다. 이런 우연성 음악을 백만 곡이나 만든 학생들이 있다. 그 사연을 한번 들어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