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랏빛
보라색
보라빛
오랑캐꽃
제비꽃
바이올렛
자줏빛
d라이브러리
"
보라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넘나들고 캄캄한 밤이 되면 영하 170℃까지 떨어지는 무시무시한 달의 환경을 생각해
보라
. 달은 지구만큼 중력이 강하지 못해서 대기를 붙잡아 두지 못한다. 또한 대기는 지구의 보호막이다. 우주에서 운석이 떨어져도 지구 대기와의 마찰력 때문에 거의 타 버린다.높이 올라갈수록 대기권은?지구는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절대 놓아주지 않을 것처럼 완강하고 고집스럽게 생겼다.꼬마잠자리의 수줍은 행동을
보라
. 물억새 줄기를 부여잡고 물구나무서듯 하늘을 향해 앙증맞게 꽁지를 쳐든다. 짝짓기를 하려 소리 없이 그렇게 님을 기다리는 몸짓이다.오소후 시인이 어떻게 내 맘을 읽었을까? ‘만 개의 낱눈으로 보석을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제약이 없는 TV를 즐길 수 있다. 벽면 전체를 덮는 초대형 플렉서블 벽걸이 TV를 상상해
보라
.분명한 사실은 과거에 상상했던 기술이 생각보다 빠르게 우리 곁에 다가왔듯, 오늘날 꿈꾸는 기술이 미래엔 자연스런 일상이 될 수 있다. 인간의 시각(視覺)이 존재하는 한 TV의 변신은 현재 진행형으로, 그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옷감은 조개의 족사로 짠 겁니다. 그걸 ‘군소’라는 연체동물에서 뽑아낸 아름다운
보라
색 염료로 물들인 것이죠.쥘 베른의 상상력은 홍합(사진)의 족사(足絲)로 옷감을 짜는데까지 미친다. 족사는 홍합이 바위에 단단히 달라붙어 파도가 치더라도 떨어지지 않게 하는 질긴 실이다. 이 실로 옷감을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관능미의 핵심에는 이성을 유혹하려는 욕망이 숨어 있다. 요즘 휴대전화 광고를
보라
. 하나같이 그 날렵한 기계를 꺼내 들자마자 그 사람이 얼마나 섹시할 수 있는지 이야기하지 않는가. 자유와 평등의 도구미국 서부 개척시대에는 카우보이의 허리에 찬 리볼버 권총이 모든 이를 평등하게 만든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다르다 눈에 보이는 빛, 가시광선도 렌즈를 통과하면 파장이 긴 빨간색과 파장이 짧은
보라
색으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분산된다 결국 렌즈를 통과한 상(像)은 선명하게 초점이 잡히질 않고 어른거리게 되는데, 이 현상을 색수차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렌즈를 하나만 쓰면 색수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 ...
63빌딩을 벽돌처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연구하기 때문이다.그는 학생들에게 “그림을 관람할 때 뒤로 물러나 전체 모습을
보라
”고 말한다. “그래야 더 크게, 더 깊게, 더 멀리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기가 보려는 그림만 보기 때문에 작은 벽에 부딪치면 쉽게 포기해요. 하지만 잠시 여유를 갖는다면 더 큰 그림을 볼 수 ... ...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승부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막으려고 수비벽을 쌓는 선수들이 중요 부위를 손으로 가리고 있다는 걸 생각해
보라
. 최고 시속 130km에 이르는 공을 정통으로 맞는다면 충격이 엄청날 것이다. 그래서 달 구장에서 뛰는 선수는 미식축구 선수처럼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있다. 지구보다 10 배 멀리 날아가달에 건설된 축구장은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부정형은하계 각각 소마젤란, 대마젤란 은하계로 불린다포유류 중 육식류의 하나 카르니
보라
목(Carnivora 目)의 아목(亞目) 돌고래나 고래의 선조로 추측된다북태평양 오가사와라제도(小笠原諸島) 부근에 중심을 둔 고온다습한 해양성고기압 영구적으로 존재하며 그 중심위치는 여름철에 약간 ... ...
무기자 메디칼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낮아지면서 소변에 녹는 기체의 양이 많아져 거품이 생긴다. 일곱 번째 칸의 색깔이 짙은
보라
색으로 변한다.소변을 보니 간이 안 좋군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에는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있다. 이 색소가 분해하면서 만들어지는 산물이 ‘유로빌리노겐’(Urobilinogen)인데 소변으로 배설된다. 이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