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방
배후
뒤쪽
이면
뒷전
후면
뒤
d라이브러리
"
뒷면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저하돼 피부의 전기 전도량이 증대된다는 점에 착안해 만든 측정기로써 귀의 앞면과
뒷면
에서 그 반응점을 찾아 침을 찌르거나, 침을 일정기간 매몰시키거나, 침에 열기나 전기를 가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침술요법의 일종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물이온을 도입하는 조작방법을 쓰거나 또는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지구에 출현하는(?) UFO(미확인 물체) 기지가 달의
뒷면
에 있다는 소문이 날 지경이었다.달
뒷면
은 1959년 10월4일 발사된 소련의 루나 3호가 처음으로 촬영했다. 이러한 일들은 우주선이 아니면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렇듯 외계를 탐험하는 우주선은 우주에 대한 지식, 즉 우주의 신비를 푸는데 필요한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보기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광학망원경들은 우리 은하계에 있는 먼지들
뒷면
은 보지 못하는데 전파망원경으로는 가능하다. 지난 1983년 새로 제작된 적외선 탐사용 인공위성은 약50만개의 적외선 분출지를 찾아냈다. 약 1년전엔 로샛위성의 X선 망원경이 하늘의 90%를 넘는 영역에서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적용될 필요성이 제기됐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BT와 DT인데, BT는 피실험자가 직접 카드의
뒷면
을 보고 그 카드의 무늬를 생각하여 기록한 다음 뒤집어서 그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DT는 피실험자가 카드에 손을 대지 않고, 한묶음의 카드 배열순서를 생각한 뒤 이를 확인하기 때문에 순수한 ... ...
팽이 오래 돌리기놀이의 챔피언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되는지를 모르고 있는 사람이 태반이다. 손바닥 위의 동전을 던져올리면 몇번 앞
뒷면
이 바뀌며 떨어진다. 만약 일정한 방향으로 떨어지게 하려면 동전을 돌리면서 던져야 한다. 서커스의 곡예사들이 보여주는 고리던지기의 비밀이나 탄환이 돌면서 날아가는 원인, 나아가서는 배나 비행기가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적기 위해 적지 않은 덩치의 컴퓨터를 들고 다니기는 어렵다. 간단하게 담배갑 속표지
뒷면
에 적으면 될 것이다. 시는 소설에 비해 길지 않기 때문에 아직까지 기계의 힘을 크게 빌리진 않는다. 그러나 팜톱(palm top)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사태는 약간 달라졌다. 달빛과 소주잔으로 살아온 김삿갓의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0여컷의 필름을 소모했다. 완전히 태양의 모습은 사라지고 태양이 있던 자리에 검은 달의
뒷면
이 대신 자리를 잡았다.흑태양 주위에 펼쳐지는 태양의 대기, 코로나의 모습은 우리와 주변 관광객의 탄성을 자아내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개기일식이 만들어내는 완벽한 정적은 우리로 하여금 두려움과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수신대역은 50 MHz 이내이며 지구에서 발생하는 저주파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해서 달의
뒷면
에 설치하고 적절한 위치에 자동 가동 송신탑을 설치해 지구로 신호를 전달하게 한다. 이 전파망원경으로 아직까지 한번도 관측하지 않은 초저주파를 연구하게 되는데, 그 주요한 대상으로 태양 행성은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천문학자들에게 궁금함을 안겨주다 1959년 루나3호 위성이 첫모습을 공개했다.달의
뒷면
은 거의가 희게 보이지만 우리가 볼 수 있는 지구를 향한 면은 눈으로 보아 희게 보이는 부분과 검게 보이는 부분이 얼룩처럼 섞여 있다. 이 얼룩은 '바다'라고 불리지만 물은 없고 현무암질의 비교적 평탄한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억개에 불과했다는 것이다.이는 우리가 비교적 적은 수의 별만 쳐다볼 수 있으며 그
뒷면
의 공허한 공간을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논리는 그 힘이 약해지기 시작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우리의 은하계인 밀키웨이엔 3천억개의 별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올버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