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성"(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땅 위 로 올라왔다. 조 연구관은 더 넓은 유럽이나 호주보다도 우리 나라가 훨씬 종 다양성이 높다고 말한다.정작 문제는 연구다. 신종을 발견한다고 다 논문을 쓸 수 있 는 것은 아니다. 생김새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 린다. 조 연구관은 후학이 없음을 안타까워했다. "신종이야 엄청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숨어있는 걸까. 우리는 왜 신종을 찾아야하는 걸까. 10월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첫 생물다양성총회를 맞아 신종헌터 특집을 준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스트라'를 발견한 것이다. 호주 앞바다는 세계 해양동물 종의 약 30%가 살 정도로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라 신종 발견이 그리 큰일은 아니었다. 특별한 점은 이 해면동물에게서 '다이시노신 A'라는 혈액응고 억제제가 발견됐다는 점이다. 후퍼는 이 신종이 혈전증(혈액이 굳어 생기는 질병)에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통해 더 많은 감정을 드러낸다는 속설은 사실인 걸까). 진화가 빚은 얼굴과 표정의 다양성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여기에도 진화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뇌는 분명히 얼굴을 통해 사람을 구분하고 파악하는 쪽으로 ‘똑똑하게’ 진화했다. 하지만 그 동안 얼굴이 놀고만 있던 것은 아니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정이 늘어나면서 다양성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방송 등에서 이러한 다양성 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마 오래지 않 아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PART 2.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생물로는 가장 다양한 집단이다. 공룡이 지금까지 약 5000종이 발견된 것에 비하면 그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절지동물 대부분의 뼈대(외골격)는 키틴질과 같은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유기물질로 돼 있다. 그런데 삼엽충의 뼈대는 방해석(탄산칼슘, CaCO3)이라는 광물질로 돼있다. 뼈대가 돌인 셈이다.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사용해온 논보다 친환경 유기농으로 경작된 논이 모기의 밀도가 낮았고 다른 생물의 다양성도 더 높았다. 모기 방제는 모기를 완전히 없애버리는 것이 아니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제주도 서부)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관찰되는 철새의 종 수가 많은 곳이었다(64종). 다양성이 풍부하다는 뜻이다. 관찰되는 개체수도 많아서, 금강호, 동림저수지에 이어 역시 세 번째로 많은 철새가 관찰됐다(1만9674마리). 특히 물 속에 자맥질해 길게는 수십 초동안 헤엄을 치는 ‘조류계의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4시간 꼬박 숲을 관찰하면 얼마나 많은 생물을 발견할 수 있을까. 생물다양성 번개모임인 제5회 ‘바이오 블리츠(BioBlitz)’가 6월 14일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서울숲 공원에서 열린다. 바이오 블리츠는 일반인들이 만 하루(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함께 행사 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있는 것 같지만, 이런 차이는 하나의 종 안에서 70억명이나 되는 인구가 보여주는 다양성이라고 이해하고 있다.사회적으로도 인종 개념은 퇴출 직전이다. 누군가를 ‘스스로가 결정하지 않은 조건(성, 피부색, 출신 지역, 신체 조건 등 태생적인 조건)’에 따라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늘고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