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뜨는 태양이 고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해 지구의 둘레를 계산했다. 하지날 태양이 정
남쪽
에 왔을 때 시에네에서는 고도가 90°였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는 82.8°에 불과했던 것이다. 에라토스네스는 두 지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뒤, 비율을 계산해 지구 전체의 둘레를 구했다. 비록 당시의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해가 뜨는 위치가 가장
남쪽
으로 내려왔을 때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남쪽
으로 내려올 때까지의 날을 세면 일 년의 길이를 알 수 있습니다.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웠을때 생기는 그림자의 길이로도 일 년의 날 수를 셀 수 있습니다. 해가 뜨는 높이는 일 년을 주기로 반복되기 때문에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간다.” 여기서 지남기란
남쪽
을 가리키는 기구를 말하는데 당시 중국의 나침반은
남쪽
을 기준으로 하고 있었다. ‘중국의 과학과 문명’을 저술한 영국의 과학자 조셉 니담은 11세기경 중국에서 매우 정교한 나침반이 사용됐음을 밝히고 있다. 14세기 무렵 중국의 나침반이 아랍을 통해 유럽으로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뒤섞여 사라지는 곳. 아라비아에만 있을 것 같은‘모래사막’이 한국에도 있다. 백령도
남쪽
대청도에 있는 옥죽동사구다. 인천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이곳에는 한국의 3면을 두른 해안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모래사막이 펼쳐져 있다. 바람이 모래를 훑고 지나가는 소리를 들어보자.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11시. 연구원들이 일제히 시험조류발전소로 향한다. 시험조류발전소는 진도대교에서
남쪽
으로 약 900m, 육지로부터는 150m 떨어진 바다에 있다. 멀리서 봤을 땐 바다에 집 모양 컨테이너 한 개만 덩그러니 놓여 있었는데, 가까이서 보니까 기둥이 6개인 철골 구조물을 세우고 발전소 상부하우스를 그 ... ...
나무 심고 전기요금 아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여름철 전기요금을 5% 정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답니다. 이 때 나무는 집의 서쪽과
남쪽
에 있어야 전기요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어요. 동쪽에 있을 경우에는 별 효과가 없었고, 북쪽에 있을 경우에는 오히려 전기 사용량이 늘었답니다. 빨리 자라는 나무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집에서 얼마나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석쇠 발갛게 달구어 전어를 굽자생소금 뿌리며 구수한 가을 바다를 통째로 굽자한반도
남쪽
바다에 앉아 우라나라 가을 전어 굽는 내음을아시아로 유라시아 대륙으로 즐겁게 피워 올리자시인 정일근이 쓴 ‘가을전어’다. 이 시에서처럼 한국인의 정서가 담뿍 담긴 가을 전어는 입맛을 당기는 ... ...
붉은 단풍은 노란 단풍이‘똑똑하게’진화한 것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산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어 기후가 변하면 동식물이 살기 좋은 장소를 찾아
남쪽
이나 북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진딧물에게 시달렸고 붉은 단풍을 만들도록 진화했다.반면 유럽은 산줄기가 동서로 뻗어 있어 동식물이 이동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결국 진딧물을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달한 뒤 세력을 확장해 한반도의 동서방향으로 장마전선을 형성했다. 그 뒤 몽골
남쪽
에서 연해주 방향으로 상층 저기압이 형성되면서 북서풍을 타고 주기적으로 찬 공기가 남하해 서해 상공에 유입됐다. 이렇게 한반도 상공에 건조한 찬 공기가 자리 잡은 상태에서 따뜻한 북태평양고기압과 만나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2010년 아프리카에서 중국에 이르는 금환식을 볼 수 있고, 2012년에는 일본과 중국
남쪽
에서도 금환식이 일어난다. 한반도 근처에서 이렇게 흔하게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기회는 역사적으로 정말 드문 일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정작 한반도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나려면 2035년까지 기다려야 한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