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속"(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어떻게 체외배양해야 우리를 닮은 인공 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2월호에서 계속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필자소개성진우.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 ...
-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셰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없던 맛을 찾는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서울 송파구에 있는 분자요리 연구소, 쿠커페이스를 찾았습니다. 주방인지 실험실인지 헷갈리는 연구소에서 분자요리를 연구하는 서정원 셰프의 이야기를 들어 보시죠! Q 분자요리란 무엇인가요?흔히 분자요리라고 하면 만들기 ... ...
- [특집] 내가 기억하는 이탕장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떠올리며 아침에 일어난다. 그리고 계속 질문하려고 노력한다. 당연해 보이는 문제를 계속 의심하다 보면 새로운 문제와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의 목표는 무엇일까. 그가 최근 ‘지후’에 올린 글로 추측할 수 있다. "계속 수학 연구를 할 거예요. 저는 제가 ... ...
- [메타버스 여행법] 점프 점프! 제페토에서 뛰어 보자, 팔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만든 점프 게임은 제페토 공식 게임보다 구성이 단순해요. 주로 계단 장애물 위로 계속 점프해 올라가며 게임 레벨이 높아지면서 난이도도 점점 어려워져요. 물론, 레벨이 높아지는 걸 보면서 성취감과 즐거움도 느낄 수 있답니다.크리에이터가 만든 점프 게임은 점프하는 동안 크리에이터의 개성이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A. 목표는 없고, 큰 꿈은 있습니다. 제 다음 세대, 그다음 세대, 또 그다음 세대까지 계속 이용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담긴 논문을 쓰는 겁니다. ▲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오른쪽)은 기존 수학자와 다른 사고방식으로 수학의 발전을 이끈 사람이에요. 일본의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와 ... ...
- [가상인터뷰] 문어의 남다른 지능 비밀은 뇌 속 마이크로RNA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분포돼 있어요. 그래서 각각의 팔이 독립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고 절단돼도 자극에 계속 반응할 수 있죠. 어떻게 척추동물과 신경계가 비슷할 수가 있죠?그 이유를 밝히기 위해 다양한 유전학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요. 한 예로 독일과 미국의 공동연구팀이 최근 참문어와 캘리포니아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전위를 생성하지 않았다. 밀어도 원자들이 주변과의 결합을 끊지 않고 어긋난 자세로 계속 붙어 있었다. 원자 간 간격과 원자 간 결합력이 서로 다른 여러가지 원소를 절묘하게 배열한 결과였다. 초탄성 금속은 첨가하는 원소의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도 쉬워 제품화가 더욱 기대되는 초재료다.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틀려도 금메달을 받을 수 있거든요. 목표를 만점을 받는데 두지 않고 어려운 문제를 계속 풀면서 수학 실력을 쌓는 것으로 뒸더니 결과도 좋았어요. 또 이 대회에 나오는 문제들은 논리력을 요구해요. 어떤 문제의 풀이를 보면 논리가 맞는 것 같은데 하나하나 따져보면 논리가 부족해 점수가 ...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DART 팀에는 NASA, 미국 응용물리연구소를 비롯해 심지어 케냐기술대학교의 전문가까지 모여 있습니다. 수백 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만큼 전문 분야도 다양합 ...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저는 새로운 것들을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에 이 연구 이외에도 계속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 거예요 ... ...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11월 18일자에 실었습니다. 사람이 잘 때, 뇌에서는 낮에 학습한 기억을 무작위로 골라 계속 반복 학습하면서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데요. 인공지능에서 똑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첫 번째 실험으로 인공지능에게 A 분야를 학습시켰다가 A 분야와 전혀 내용이 다른 B 분야를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