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설
건조
공사
구축
가설
시공
신축
d라이브러리
"
건축
"(으)로 총 1,342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간다. 격렬한 충격의 여운은 중력파로 우주 구석구석에 전해진다.#2지구 위 가장 큰 인공
건축
물,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 이 건물이 지어지면서 두바이는 크게 변했다. 길이 바뀌고 도시도 변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변화도 있다. 다니던 길이 막힌 바람은 건물 주변에 작은 돌풍을 만든다.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미 사람이 살고 있는 건물이라도 지진에 조금 더 잘 버티도록 보완할 수 있습니다.
건축
에서는 이를 ‘내진 보강’이라고합니다.아래 사진처럼 바깥에 강한 철골 자재를 덧댄 건물을 본 적이 있나요? 튼튼한 철골을 바닥과 약 30°~50°의 각도를 이루게 세우고, 이 철골로 만든 삼각형이 건물 전체를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큐슈에는 큰 활화산이 많아요. 그래서 이번 지진이 화산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컸지요. 실제로 16일, 큐슈의 아소산이 분화를 시작하기도 했답니다. 지진과 화산은 정말 관련 있을까요? 일본 지진은 백두산에 영향을 준다? 안 준다?화산은 지진처럼 땅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판의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수리 기록이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쐐기모양의 블록들을 궁형(아치형)으로 쌓아
건축
한 다리나 대문이 하강한 것도 지진의 여파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8세기에 넘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남산의 마애여래입상을 통해 779년 경주에 발생한 지진의 강도와 운동을 추측한 연구도 나왔다(아래 ... ...
Intro. 거대도시
건축
학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
건축
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계절 의존도를 낮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
건축
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체험 프로그램이에요.2. 다함께 레오나르도 돔 만들기다재다능한 재능으로 과학과 미술,
건축
학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생전에 못이나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나무다리를 제안했어요. 이를 ‘레오나르도 다리’, 또는 ‘레오나르도 돔’이라고 불러요.이번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다음 파트에서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시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
건축
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높아야 하는 곳일수록 탄산칼슘의 비율이 낮다.대우건설에서는 국내 최초로 탄산칼슘
건축
재료상용화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시범단계로, 발전소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소각로에서 시험가동을 하고 있다. 김병환 대우건설기술연구원 플랜트환경연구팀장은 “소각시설의 배출가스에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