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d라이브러리
"
지층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륙붕 천연가스층 발견의 숨은 주역 강주명 교수
과학동아
l
198801
아래가 덮개암으로 막혀 유체가 통과할 수 없어야만 되는 것이지요. 쉽게 말해서 해저의
지층
속에 가스나 기름이 고여서 커다란 풀을 이루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륙붕지역은 이런 지형조건은 갖추었는데 막상 뚫어보니 그속에 기름이 안들어 있었던 형국이었어요. 그런데 ... ...
우리의 옛 선조들
과학동아
l
198712
이렇게 가장 오래된 사람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로 부른다. 약 4백만년 전의
지층
에서 화석화된 뼈들이 발견되었다. 의심할 여지 없이 더 오래된 예가 있을 것이다. 지구상에 5백만년 동안 원인들이 존재해 왔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이것은 인류와 그의 원인 선조들을 ... ...
영국-프랑스를 해저로 연결 20세기의 대역사 유로터널
과학동아
l
198711
돼있다. 터널이 뚫릴 해저
지층
은 약 90%가 무른 초크층. 7천만년전에 형성된 20~35m두께의 이
지층
은 퇴적믈로 된 물렁한 석회질층으로 비교적 부드러운 것으로 조사됐다.초크(白堊)층은 얕은 사발처럼 경사져 있기 때문에 터널의 양끝은 완만한 물매를 이루고 있다. 즉, 영국쪽에서 보면 터널의 경사가 ... ...
두루봉 구석기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30만년전의 나비 비늘 발견
과학동아
l
198704
경우는 최고 30만~40만년전('처녀굴'의 2백55㎝
지층
출토)에서 20만년전('새굴'의 8백㎝
지층
출토) 경의 것들로 여겨진다. 또 수양개유적에서 출토된 나비비늘은 빙하기의 추운 날씨에 살았던 것들로 추측된다.현재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이 나비의 비늘들이 어떤 종류의 것이며, 어떻게 해서 ... ...
구조색인가 색소색인가 나비의 정체를 밝힐 열쇠는 비늘의 빛깔
과학동아
l
198704
볼 수 있다.여기서 한가지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이들 나비중 빙하기에 해당되는
지층
에서 출토된 것들은 어쩌면 오늘날의 산굴뚝나비 종류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이 산굴뚝나비는 한라산의 정상부근이나 일본의 고산지대 등 추운 기후환경에서 목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굴뚝나비를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04
돌맹이는 어디서 굴러온 것일까?·시원한 계곡의 바위 덩어리, 도로변 절벽에 쌓여 있는
지층
은 어떻게해서 생겨난 것일까?·어째서 우리 나라의 동해안에는 절벽이 많고 해안선도 거의 일직선인데 서해안과 남해안에는 섬도 많고 해안선이 그렇게 복잡할까?·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우는 히말라야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03
앞으로의 황하치수대책에 활용하려는 것이다.어떤 지진학자는 장성이 축조된 곳은
지층
의 단열대(斷裂帶·지각이 균열된 지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며 과거의 지진에 의한 단열흔(斷裂痕)이나 위치가 어긋난 곳을 볼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이런것을 분석하면 지진학이나 건축학에 귀중한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02
의해 파헤쳐진 흙 속에는 뼈나 돌 이외에 화석이 되어 버린 무수한 식물의 씨앗이
지층
을 따라 연속해 있어서 식물계의 분포와 기후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준다. 2백만년 전과 3백만년 전 사이에 아프리카의 단층 지에는 급격한 지리적, 기후적 변동이 있었다. 그래서 단층의 양쪽은 자연 경치가 서로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02
그 상부는 연안 내지는 내만의 기수역에 해당되는 퇴적층이고, 하부사층을 포함한 하부
지층
은 하천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퇴적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을숙도는 하천영역에서 해안영역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형성되어 온 모래섬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최하부의 자갈층은 기저역층으로서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11
엄청난 지진이 수백km에 걸쳐 여러번 일어나게 됩니다.”─ 만일 마그마가 흐르던
지층
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침강한다면 지진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인가요?“그렇습니다. 과학이 지금보다 더 발전한다면 인위적으로 지진을 예방할 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가령 예를 들어 해구의 엄청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