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154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06
핵심이라고 하는 청색 고체 레이저 개발에 성공했다. 2000년 LG전자와 공동 개발에 착수한
이래
3년만에 얻은 성과였다.“고출력 청색 레이저는 빔주사 방식으로 기존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방식보다 훨씬 크고 선명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컴컴한 연구실 한가운데를 날카롭게 가르는 푸른빛의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05
결손되면 여성이 된다.성격·지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2000년 6월 인간게놈초안이 발표된
이래
3만-4만개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찾아내고 그 기능을 밝히는 포스트게놈 연구가 한창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유전자 가운데 성격·지능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유전자들을 정리했다. 이들 유전자는 대부분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05
素子) · 정류기에 쓰인다1941년 독일의 지멘스사(社)에 의해 개발된 후 제2차 세계대전
이래
반도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초고주파 검파기 등에 응용되고 전자관을 대신하는 각종 반도체 소자가 출현하는 실마리를 열었으며 특히 트랜지스터 · 터널(에사키) 다이오드의 발명에 직접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04
유비쿼터스로 가는 첫 관문과도 같다. 연구자들과 첨단 IT기업들로부터 ‘반도체 발명
이래
최고의 발명품’이라는 찬사를 받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반도체가 마법의 돌이라면 전자태그는 마법의 딱지 정도가 되지 않을까.반도체칩 이후 최고 발명품 전자태그는 크게 수동형과 능동형 ... ...
세드나, 행성여부 뜨거운 논란
과학동아
l
200404
천문학자들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이 천체는 1930년 명왕성이 발견된
이래
가장 큰 것이지만 지름 2천3백60km인 명왕성의 4분의 3 크기”라며 “진짜 행성은 아니고 행성과 소행성 사이인 미행성(planetoid)이라고 부르고 싶다”고 말했다.그런데 이를 계기로 행성의 요건을 다시 정해야한다는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04
암석은 강원도 화천군 대이리의 석류석-흑운모 편마암이었다. 한반도가 오랜 시생대
이래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백령도에 숨어있는 고지도지금까지 한반도의 땅이 언제 생겨났는지를 알아봤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이 시나리오는 ‘한반도’에 해당되지 않는다. 즉 지금 우리가 딛고 있는 땅은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03
없다는 큰 장점이 있다.두번째 방법은 성체 줄기세포를 쓰는 것이다. 1960년대 개발된
이래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쓰이는 골수이식법도 골수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 즉 각종 혈액성분을 만드는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탯줄에 남아있는 줄기세포도 대표적인 성체 줄기세포다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02
있다. 감마선폭발(Gamma-ray burst)로 이름 붙여진 이 현상은 1960년대 말 처음 발견된
이래
신비에 싸인채 천체물리학자들을 매료시켜왔다.이런 거대한 폭발은 어디에서, 왜 일어나는가? 지난 10여년 동안의 집중적인 연구 결과 감마선폭발에 대한 의문이 하나둘 밝혀지고 있다. 우주의 작은 빅뱅이라고도 ... ...
기술부총리 신설
과학동아
l
200402
과학기술계가 회생할 수 있을까. 지난해 12월 오명 신임 과학기술부 장관이 취임한
이래
이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과기부 장관의 지위를 과학기술부총리로 격상하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그동안 고질적 병폐였던 과학기술정책을 둘러싼 관련 부처간 갈등도 해소될 기미가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02
부딪히는 각도가 45°보다 크게 되면 곧바로 물에 빠져 들어갔다.물수제비는 고대 그리스
이래
지금까지 수천년간 이어져오고 있는 경기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물수제비를 잘 뜨게 하는 비법에 대한 설도 구구하다. 네모난 돌보다는 삼각형이 낫다든지, 돌을 던지지 않는 손에도 돌을 쥐고 있어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