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뉴스
"
미
"(으)로 총 4,442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때려 눕힌 거대 공룡이 사실은 수영 선수?
2014.09.15
반면 연구팀은 논문에서 “스피노사우루스의 거대한 등비늘은 물고기의 등지느러
미
처럼 수영에 쓴 것이 아니라 돛단배의 ‘돛’처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표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11일자에 실렸다.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단축시킨다는 상식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삼성종합기술원
미
국 연구소와
미
국 스탠퍼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 공동 연구진은 배터리를 급속 충전하거나 방전한다고 해서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 ‘네이처 머티리얼스’ 14일자에 발표했다. 배터리의 ... ...
암 성장 막는 골칫덩이 단백질 막는 신약 찾았다
2014.09.15
이 단백질을 억제할 방법이 없어 ‘보고도 막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댄 테오도르스크
미
국 콜로라도대 암센터 교수팀은 인디애나대, 버지니아대, 예일대와 공동 연구로 Ral 단백질의 활성을 막는 물질을 찾아내고 ‘네이처’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정교한 컴퓨터 모델링을 ... ...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세포가 삐뚤어져요
2014.09.12
따라서 3차원 입체 구조가 서로 다르다. 문제는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
미
노산이 제대로 접히지 않거나 다른 부분이 접힌 ‘기형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만약 기형 단백질이 만들어지면 세포는 이 단백질이 내보낸 신호를 인식해 단백질 생산 속도를 늦추면서 불량 단백질을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끝냈고 학술지 ‘사이언스’에 논문을 투고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학생은 누구나
미
래 대통령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며 “열심히 연구하고, 이들에게 연구 내용을 잘 가르치고, 또 나아가 대중에게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책을 쓰는 일이 진정한 과학자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 ...
소득 높을수록 부모 이혼이 자녀에게 영향 커
2014.09.10
부유층 가정의 아이들일수록 부모의 이혼과 재혼이 큰 영향을
미
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동아일보DB 제공 소득에 따라 부모의 이혼이나 재혼 ... 큰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로 가족 구성의 변화가 나이에 따라
미
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점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특정한 반응이 다시 도전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우리시오 델가도
미
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시련이 닥쳤을 때 뇌 뒤쪽에 있는 ‘배측선조체’와 뇌 앞쪽에 있는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이 함께 반응해 포기하지 않게 만든다고 신경과학분야 학술지 ‘뉴런’ ... ...
뚱뚱한 어린이는 천식도 잘 걸린다
2014.09.03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어린이에 비해 6% 가까이 천식 위험이 증가했다.
미
쉘 포그스
미
국 알레르기 천식 및 면역학회 회장은 “비만으로 생긴 천식 때문에 호흡이 불편해진 아이들은 운동을 하기 힘들어 한다”며 “비만과 천식을 앓고 있는 아이들이 좀 더 쉽게 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 ...
음악 교육 좀 받더니 대학 진학도 척척
2014.09.03
했다”며 “이번 연구는 불우한 환경에 처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의
미
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2008년 이후 하모니 프로그램에 참가한 우범지대 청소년 93%가 대학에 진학했다. 하모니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이 지역 청소년 50% 이상이 학교를 중퇴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그럴듯해 보인다. 그런데 왜 메뚜기(또는 장내
미
생물)는 서식밀도가 높아질 때 행동 패턴의 극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걸까. 이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개체수가 늘어날 경우 기존의 행동패턴을 유지한다면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