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d라이브러리
"
현상
"(으)로 총 7,707건 검색되었습니다.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주렴!”해무리의 종류해무리는 공기 중에 있는 얼음결정에서 빛이 굴절되면서 생기는
현상
이다. 천정호는 해무리 가운데 가장 밝고 알록달록하다. 무지개가 ‘레인보우(rainbow)’인데 비교해서 해무리는‘아이스보우(icebow)’라고도 한다. 사건분석➍ 무지개 같기도 한 해무리“해무리의 종류가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운동하고 있을 때 관측자에게 관측되는 파원의 진동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피부과학연구소 최현정 선임연구원은 “피부가 자외선을 받아 검게 그을리는
현상
은 피부세포가 일종의 ‘방어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자외선은 피부세포 아래쪽에 위치한 멜라닌 세포라는 색소 세포를 자극한다. 멜라닌 색소는 평소 피부세포의 핵 주변에 모여 있다가 자외선이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약 172m3에 이르는 기체를 저장할 수 있다. 얼음이 불타는 듯 보이는
현상
은 사실 메탄하이드레이드 안의 메탄이 타기 때문이다.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 교수는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 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 메탄하이드레이트의 가치가 높다”면서 “매장량이 막대하다”고 강조했다. ... ...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알코르가 훌륭한 ‘천연 시력검사판’ 노릇을 톡톡히 하지 않았을까.이달의 천문
현상
_핏빛 붉은 달이 떠오른다 8월 28일 초저녁 동쪽하늘을 주목하자. 지구 그림자가 보름달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2004년 5월 5일 이후 3년여 만에 일어나는 개기월식이다. 지난 3월 4일에 우리나라에서 ... ...
식물이 '흑기사' 부르는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못했다.그런데 하일 교수팀은 여성 연구원이 식물에 다가갈 때마다 해충이 사라지는
현상
을 목격하고 여성 연구원이 사용하는 화장품의 주요성분인 자스몬산을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했다. 연구팀은 “자스몬산과 휘발성 기체에 대한 메커니즘을 더 명확히 밝혀 친환경적인 농법을 개발하겠다”는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전임강사, 65년에는 공업화학 담당 교수가 되었다초기의 연구는 결정동형, 비체적, 모세관
현상
, 표면장력, 기체의 절대비등온도, 알코올 수용액의 밀도 등 물리화학 방면에 향해졌다 러시아의 화학자 멘델레예프가 발견한 법칙 원소를 원자량의 순서로 배열하면 원소의 여러 성질에 따라 일정한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건물 옥상에 있는 피뢰침을 가리키면서 안심하라고 위로해 주었어. 피뢰침은 번개가 전기
현상
임을 알게 된 미국의 과학자 프랭클린이 발명한 것인데, 건물 꼭대기에 뾰족한 금속막대로 설치되어 있고 땅속까지 굵은 구리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단다.번개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내려오면서 빠르게 ... ...
잣나무 말려 죽이는 무서운 재선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한 숲에서 세계 처음으로 발견됐어요. 정확히는 모르지만 소나무재선충병과 같은
현상
이 일어날 것으로 보여요. 다만 소나무보다는 병이 천천히 진행돼서 대책을 세울 시간이 많다는 것은 다행이에요.기자 : 불행 중 다행이군요. 처음에 어떻게 한국까지 온 거예요?재선충 : 원래 저희는 미국이나 ... ...
산호색 살리는 허리케인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받아 조류를 쫓아낸다. 조류가 떠난 산호는 회색이나 흰색으로 변하는데, 이런
현상
을 ‘백화’라고 한다. 최근 몇 년간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계속 상승한 탓에 화려함을 잃고 백화되고 있는 산호가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연구팀은 2005년 대형 허리케인이 북대서양 연안을 덮친 뒤 산호가 화려한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