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자
원조자
편짝
d라이브러리
"
한편
"(으)로 총 5,0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예. 또 서울대 의대 김수태 교수는 뇌사자의 간을 말기 간암환자에게 이식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동물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잇따랐다. 돼지의 간, 원숭이의 간 등이 인간의 병든 간을 대신하기 위해 이식된 것. 그러나 이식결과는 좋지 않았다. 환자들이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켜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동식물 또는 미생물에서 작물개량에 필요로 하는 특정한 유전자를 분리증식해야 하고
한편
으로는 유용한 유전자를 작물세포 속으로 집어넣는 기술이 요구된다. 육종에 이용되는 유전자는 주로 각종 병충해에도 잘 견디는 저항성 유전자들이다. 선진 외국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옥수수, 바이러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평균시속 30㎞, 최대시속 60㎞인 KARV1호에는 열감지센서와 자외선센서 등이 장치돼 있다.
한편
일본도 최근 영상인식 컴퓨터를 장착한 자동차를 제작했다. 이 영상인식시스템은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 마쓰다사(社)와 전기회사인 NCE가 공동으로 개발했는데 민감도가 인간의 눈에 버금갈 정도다 ... ...
(1)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한글카드는 PC의 CPU에서 한글을 처리함으로써 CPU의 스피드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한글 처리속도는 느리지만 AT급 이상의 빠른 PC를 사용할 경우 여러가지 장점이 많다. 일반적인 영문 소프트웨어에서 한글을 사용하고자 할 때, 또는 사용하고 있는 한글 폰트를 바꾸고 싶을 때 이것을 사용하면 ... ...
생명 탄생에 중력이 필요?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달걀의 상태에서 역시 중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하는 결과도 나와 있었다.
한편
같은 엔데버호에서 실시한 미국측의 실험에서는 중력없이도 개구리알이 올챙이로 깨어났다. 이 문제의 정확한 답을 얻으려면 여러번 실험을 되풀이하는 수밖에 없다.달걀의 실험은 일본 쇼와 대학 쓰다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반도체 레이저 개발로 선명하고 깨끗한 화면의 레이저 TV가 가정에 보급될 것이다.
한편
반도체레이저 외에 광논리소자와 광집적회로의 연구개발로 21세기에는 광컴퓨터 광교환기 등도 개발될 전망이다. MMIC -텔레파시를 현실화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사회구조가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 있다. 참여연구자의 소명감과 각고의 노력 없이는 이런 업적이 절대 이뤄지지 않는다.
한편
미국 MIT의 페이지박사 실험실에서 보고한 성염색체Y의 유전지도작성은 또 하나의 개가였다. 성염색체 Y는 남자에게만 존재하는 것으로, 흔히 아담의 유전정보가 이 염색체 속에 있다고들 한다. 그래서 ... ...
486PC 바람이 분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고가정책을 고수하자니 시장에서 완패할 것이 뻔한 상황에서 당분간 관망하자는 태도다.
한편
1백70만원대 제품발표 이후 삼성이 당면한 최대의 난제는 대리점들의 반발을 무마하는 것. 삼성은 이 제품을 발표하기 전 이보다 더 비싼 가격에 하위 386급 제품을 구매해간 대리점들에 대해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우리 우주 모든 은하 계속의 엄청난 수에 달하는 별들에서 쏟아져나오기 때문이다.
한편
그러한 중성미자들이 완벽하게 무질량이라면 우린 우주에 관한 매우 원론적인 질문에 대해 답을 찾아야만 한다. "우주는 언제 끝날까?"가 바로 그것이다. 아주 미약하나마 '질량있는' 중성미자들이 많고많다면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도마뱀을 닮은 파충류가 살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게 됐다.18세기에 공룡화석 첫 발견
한편
이와 비슷한 파충류의 화석이 북미에서도 발견됐는데, 어떤 것은 길이가 15m나 되는 것도 있었다. 1820년대에 이르러 과학자들은 '화석화된 파충류'를 찾아 집중적인 탐사를 실시, 보존상태가 좋은 대형 파충류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