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몇 개의 가문이 다스리는 공화국들로 나뉘어 있었다. 피사는 현재 인구 8만 명 남짓한
작은
도시지만한때는 강력한 해상공화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피사는 북쪽으로는 세르키오 강, 남쪽으로는 아르노 강이 있어 토지가 비옥하고 물자가 풍족했으며, 외적을 방어하기에도 좋았다. 덕분에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발전시킨 경우가 많다.‘10 Lessons’는 이런 면을 가장 간단하게 제시한 책이다. 이 책은
작은
변화를 이용해 수학적인 증명을 하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해 (-a)(-b)=(a)(b)가 항상 성립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a)(b)+(a)(-b)+(-a)(-b)={(a)(b)+(a)(-b)} ...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매회 평균 7.5명의 당첨자가 나왔더군요. 로또 1등 당첨 확률이 1/8145060 인데, 이토록
작은
당첨 확률의 복권에 당첨된 사람이 매회 평균 7명이 넘게 나오다 보니 사람들은 뭔가 이상한 일이 아니냐며 의심하고 있습니다. 조작설까지 나오고 있던데, 지켜보다가 답답해서 한마디 해야겠군요.결론부터 ... ...
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이웃사랑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복권의 수익금이 꼭 당첨금에만 쓰인다고 생각했던 오해가 좀 풀리셨나요? 복권은
작은
돈으로 이웃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자가 말하는 복권의 진실, 확률로 풀다!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훨씬 다양해졌다.“눈부시게 변한 것은 응용 분야입니다. 1930년대만 해도 휴대전화 같이
작은
전자시스템이 가능할 거라 생각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트랜지스터를 거쳐 양자역학을 응용한 반도체가 개발되면서 불가능은 현실이 됐습니다.”양자역학은 이미 완성된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는 “절대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맹그로브는 땅에서 흘러나가는 흙을 잡아두어 해안의 산호를 보호한다. 잡아둔 흙에는
작은
유기체가 많이 산다. 마치 우리나라의 갯벌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난방을 위해 맹그로브 나무를 가져다 쓰니 산호가 해안에서 흘러나온 흙에 덮여 죽을 위기에 처한다. 주민들의 삶을 위협해 악순환은 ... ...
우리은하 나선팔은 교통사고 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시뮬레이션 결과가 실제와 비슷했던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결과는 질량이
작은
은하가 합병되는 현상이 일상적인 일이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밝혔다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실로 엄청난 변화다. 자연을 닮아 편안한 얼굴로 돌아가는 아이들에게서 희망을 본다.
작은
내 손 끝으로 이뤄낸 변화에 보람을 느끼며 또 행복하다. 다 애벌레 덕이다.첫걸음은 호랑나비 애벌레부터지난 9개월 동안 애벌레를 분류하고 생존 전략을 탐구하면서 애벌레에 대한 해석과 족보를 어느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잔상효과 때문에 인식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이렇게 켜면 깜빡 거리지 않을 때보다 훨씬
작은
에너지로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20mA의 전류가 흐르는 흰색 LED를 60개 연결해 사용하면 총 1.2A의 전류가 흐르면서 에너지가 소비된다. 그런데 1/60초 동안 깜빡거리게 켜면 20mA의 전류만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알 수 있는 것일까? 임의의 4자리의 자연수를 다시 배열해 얻은 큰 숫자를 1000a+100b+10c+d,
작은
숫자를 1000b+100c+10d+a라 하면 그 차는 999a-900b-90c-9d=9(111a-100b-10c-d)로 9의 배수가 되기 때문이다. 이때 4자리의 자연수를 다르게 배열하더라도 그 차이는 항상 9의 배수가 된다. 따라서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