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취소되는 등 NASA는 여러 난관에 부딪쳤다. 하지만 1981년 NASA는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를
성공
적으로 개발했고, 컬럼비아호는 그때까지의 발사체 기술을 집대성한 최고의 결정체로 인정받았다. 덩달아 NASA의 위상도 하늘을 찔렀다. 그런데 이런 NASA의 위상을 하루아침에 무너뜨린 사건이 발생했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얼음 안에 존재하는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
했다고 ‘네이처’ 4월 7일자에 발표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저장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영하 252℃나 35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 ... ...
폭발물 탐지하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스웨거 교수팀은 TNT 같은 폭발물을 탐지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가진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
했다고 4월 14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이 물질에 자외선을 쬐면 안에 들어 있는 전자가 들떠서 빛을 낸다. 그러나 TNT가 신물질에 달라붙으면 빛이 나오지 않는다. 연구팀의 에이메 로즈 박사는 “이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팀은 피부 줄기세포를 이용해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보통 쥐의 피부에서 성체줄기세포를 추출했다. 이를 시험관에서 배양한 다음 털이 없는 혈통의 쥐에게 이식했다. 그 결과 털이 없는 쥐에서 보통 쥐와 비슷한 정도로 털이 났다고.로레알 연구소는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무리는 없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롭해즈 개발을 이끈 KIST 강성철 박사는 이번 파병이 ‘
성공
반 아쉬움반’이라고 토로했다. 원래부터 계획됐던 폭발물 처리 훈련이 현지의 민감한 상황으로 취소된 것. 가장 중요한 실전 기회를 놓친 셈이다.이번 파병에는 롭해즈 외에도 미국 리모텍사가 개발한 ... ...
초소형 물질 붙이는 강력한 나노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국 과학자가 다양한 표면 위에 소형 구조물을 붙일 수 있는 강력한 ‘나노 접착제’를 개발했다.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유두열(36) 연구원은 IBM사와 함께 금속, 세라믹, 고분 ... 이 접착제를 6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두께로 입힌 후 고분자 나노 구조를 수직으로 배열하는데
성공
했다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른 음식들도 얼마든지 우주식품으로 가공해 생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김치 개발이
성공
하는 대로 된장 등 다음 소재를 찾아 나설 예정이다. 오는 2010년경 정읍 방사선 연구소 내에는 가상의 우주환경이 들어선다. 연구원들은 이곳에서 우주와 똑같은 조건에서 일어날 인간의 생리 변화를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봉사하고 있을 겁니다. 소외계층도 국가적인 인력자원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소외계층이
성공
한 역할 모델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말 한 마디가 인생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이들이 의욕을 갖도록 기회를 줘야 하지 않겠습니까?”이를 위해 나 이사장은 모든 사업에서 10~20%는 아예 소외계층의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온도의 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화도 관찰해 보려고 실험을 했다. 하지만 결과는 그다지
성공
적이지 못했다.이들은 상온에서 실험을 했다.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젖은 천으로 유리관을 싸매고 유리관 속의 변화를 관찰했지만 약간 부피가 줄어든 것 같다는 느낌만 받았을 뿐 의미 있는 가설을 세울만한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방문하며 여러 자료와 정보를 모아서 세종기지를 짓는 데 온 힘을 쏟아 부었어요. 결과는
성공
! 박사님은 세종기지의 탐사대장이 되어 남극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됩니다.박사님은 어린 친구들에게 남극에 대한 얘기를 들려 주는 책들을 많이 썼어요. 어른에게도 멀게만 느껴지는 곳이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