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사진을 보면 배경이 흐릿하게 처리된 심도가 얕은 사진이 많다. 카메라에서 심도를
조절
하는 부분이 바로 눈동자에 해당하는 조리개다. 즉 조리개를 많이 열어 빛이 들어오는 폭을 넓힐 경우 심도가 얕아지고 조리개를 많이 닫으면 심도가 깊어진다. 보통 풍경사진이 심도가 깊은 경우가 많은데 ... ...
영화 속 단골 소재 '웜홀' 실험실에서 만들었다
2015.09.07
다른 쪽에서 나타난 셈이 된다. 산체스 교수는 “자기장을
조절
할 순 있어도 중력을
조절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자기 웜홀이 우주의 웜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자기공명영상장치(MRI)와 같이 자기장을 사용하는 의료기기의 해상도를 높이거나 투명망토, 투명음향장치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없이 암 덩어리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2007년 나왔다. 결국 우리 몸은 p53을 절묘하게
조절
해 노화와 발암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셈이다. 1979년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인자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 ...
마블 히어로 ‘앤트맨’의 과학, 어디까지 사실일까
2015.09.04
등장한다. 영화는 몸을 자유자재로 줄이고 늘리는 기술과 함께 이를 버튼 하나로
조절
할 수 있는 슈트와 헬멧이 개발됐다는 설정에서 시작한다. 영화의 과학적 상상력은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 ‘아인슈타인 공식’ 따르면 폭발할 수밖에 앤트맨이 개미 크기로 줄어드는 설정부터 기술적으로 ... ...
남극물개가 자기 자식 찾는 비법은 ‘목소리’
2015.09.03
진행했다. 그 결과 새끼와 어미 사이의 거리가 64m 정도로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진동수를
조절
해 더 큰 소리를 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반면 거리가 8m 정도로 가까운 경우에는 진동수 뿐 아니라 진폭까지 이용해 목소리를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연구팀이 새끼 무리에게 먼 거리에서 녹음된 ... ...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09.01
분비되는 전두피질 부위가 망가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세로토닌이 줄어들면 분노
조절
이 어려워서 쉽게 화를 낼 뿐 아니라, 충동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우울증이 생기기도 한다. ● 디지털 중독인지 아닌지 수학으로 진단 전문가들은 디지털 중독이 아닌지 스스로 돌아보면서 스마트폰을 ... ...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 지방
과학동아
l
2015.08.31
막는다. ATP를 생성하는 대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체온을 높여주는 것이다. 때문에 체온
조절
이 어려운 어린 아이는 갈색지방이 반드시 필요하다. 어린 아이나 일부 동물에게만 있다고 알려졌던 갈색지방이 주목을 받게 된 건 2009년부터다.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대 연구팀이 성인의 몸에서 ... ...
[Health&Beauty]척추 상태 나빠도 증상 없으면 수술 필요없어
동아일보
l
2015.08.26
수술을 하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이런 형태의 통증은 상당수 3개월 이내에 스스로
조절
될 수 있다. 단지 통증이 문제라면 최소 3개월은 기다릴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척추 질환은 퇴행성 질환이다. 그러므로 수술을 포함해 어떠한 치료를 한다고 해도 완치가 되는 건 아니다. 의료진이 할 수 있는 ... ...
필터 하나로 여러 색 한번에,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개발
2015.08.25
필터로 실험한 결과 알루미늄 나노선을 배열하는 간격과 입사시키는 빛의 편광 방향을
조절
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색상을 얻어낼 수 있었다. 화질 저하 없이 화학 염료보다 성능이 좋은 컬러필터를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교수는 “원하는 파장의 빛을 80% 이상 투과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 ...
한 번 암이 된 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을까
2015.08.25
되는 건 여러 유전자가 망가지며 일어나는 비가역적인 반응”이라며 “마이크로RNA를
조절
해 일부를 정상으로 되돌린다고 해도 암세포 전체를 정상세포로 되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24일자에 실렸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