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52건 검색되었습니다.
美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박쥐·천산갑 거치면서 인체 감염 능력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코로나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스파이크단백질에는 인간의
세포
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수용체 결합 부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결합부위로 인해 사람의 호흡기에 존재하는 수용체(ACE2)의 표면단백질과 쉽게 결합하는 바이러스가 생겨났다는 결론이다. 연구진은 ... ...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호흡기 속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떨어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원인이 ACE2 양에 있다고 보고
세포
들의 ACE2 양을 분석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코에서는 ACE2 양이 가장 많았고 호흡기를 지나갈수록 점차 줄어들어 폐포에서는 ACE2가 가장 적었다. 연구팀은 코가 처음 감염된 이후 호흡을 통해 코에서 ... ...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박쥐·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의 잡종"
연합뉴스
l
2020.06.01
바이러스가 종(種) 사이를 뛰어넘을 수 있는 것은 스스로 유전적 변화를 통해 숙주
세포
에 결합하는 능력을 획득하기 때문이라며 이 같은 바이러스의 진화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 향후 이런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을 억제하고 백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06.01
이는 우주비행사가 1년간 우주에 체류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 조건이다. 4주 뒤 우주선이
세포
조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장기가 차폐벽을 통과한 GCR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장과 뇌, 안구가 가장 많은 방사선을 흡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몬센 연구원은 “이번 ... ...
[표지로 읽는 과학]암
세포
내부의 미생물 다양성을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사실을 발견했다. 암
세포
인지 면역
세포
인지 등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가 달랐으며, 암
세포
가 위치한 조직의 종류에 따라서도 미생물의 조성과 종류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양성은 유방암에서 유독 높았고 뼈, 뇌, 폐 또는 췌장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유방암과 나머지 암 사이에 차이가 ... ...
가장 정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바이러스는 인체
세포
표면에 돋아난 단백질 중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해
세포
안에 침투한다. 이 때 ACE2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의 부위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많은 백신과 치료제가 이 단백질을 차단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치명적인 ... ...
UNIST 교원창업기업 '리센스메디컬', 신보 혁신아이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피부과에 활용할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냉각온도와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세포
냉각 기술을 활용해 안구마취와 염증성 질환치료에 쓰일 기기를 제작했다. 안구마취 기기는 미국 내 전문병원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도 진행중이다. 3기 ... ...
中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안전성·항체형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높다고 결론 내렸다. 캔시노 제공 연구팀은 추가적으로 항체 형성 여부도 확인했다. 인체
세포
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결합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단백질(ACE2)에 결합하는 ‘수용체결합부위(RBD)’에 결합하는 항체와, 바이러스 감염력을 떨어뜨리는 중화항체는 접종 14일 뒤부터 크게 ... ...
사람 눈보다 시력 좋은 인공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망막은 안구벽의 가장 안쪽에 돔 형태의 얇고 투명한 막으로 약한 빛을 감지하는 감각
세포
인 광수용체가 들어있다. 망막 1제곱센티미터(㎠)당 들어있는 광수용체만 약 1000만개에 이른다. 김재휘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교수는 “망막 속 광수용체는 빛을 감지해 전기적 신호로 바꿔 신경을 통해 ... ...
"유아·어린이 코로나19 환자 적은 이유는 ACE2 단백질 수 차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코로나19 감염의 또다른 주요 경로이자 환경이 코와 많이 다른 폐포나 기관지 등의 상피
세포
속 발현이 거의 연구돼 있지 않은 만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