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에서 새로운 연료 추출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완성된 장치가 생산되기까지는 수년간 연구가 더 계속돼야 할 것 같다. 우선 광자에 의해
전달
된 에너지 중 얼마만큼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을지 의문인데 이론적으로는 20~25%가 실용에너지로 전환 가능할 것이다.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된다해도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태양 에너지를 ... ...
과학용어 통일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나타내지만 새 지식을 만들어내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불완전한 언어는 틀린 개념을
전달
하며 일단 고정된 틀린 개념은 버리기 어려운 편견이 된다. 과학용어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대목이다.서구과학이 처음 들어왔을 때 동양사람들은 생소한 개념을 적절히 표현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와 대뇌피질 등에서 자주 관찰된다. 최근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연구로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인간의 두뇌는 단순한 계산능력을 갖는 뇌세포가 복잡하게 상호 연결되어 정보를 상호
전달
하면서 판단을 한다. 이러한 계산능력을 모방하여 계산모형을 만들고 이러한 계산 모형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지능의 어디까지 모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한창 연구되고 있다. 소위 '신경 ... ...
「가미카제특공대」식 약제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조지아기술연구소의 한 연구자는 이 신약을 소포속에 든 폭약에 비유하고 있다. 소포를
전달
하는 도중에는 숨죽이고 있다가 주소지에 도달해 수령자가 소포를 푸는 순간 '꽝'하고 터진다는 것이다. 현재 이 항트롬빈제는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거치고 있는데, 약효를 보인지 5분후에는 토끼의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신경
전달
물질의 합성과 분비 등의 과정에 영향을 미쳐 그 효과를 나타낸다. 신경
전달
물질에 대해서는 PART II에서 자세히 다룬다.주름을 펴면 4천㎠(그림 1)에서 보듯이 사람 뇌는 겉에서 보면 많은 주름이 잡혀 있다. 목 뒤부분에 위치한 더 섬세한 주름이 소뇌이고 그 윗부분 전체가 대뇌이다. 대뇌는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 우주가 갖고 있는 먼 옛날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고 뜨거운 별의 내부사정을 직접
전달
해주는 유일한 존재이기 때문이다.파울리교수가 중성미자의 존재를 예언한지도 벌써 61년이 지났다. 그동안 미국의 부룩해븐연구소 페르미연구소 그리고 유럽의 CERN에서 많은 중성미자를 만들어 냈다. 이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찾아간다.동물의 외분비샘에서 만들어진 뒤 체외로 분비돼 같은 종의 개체내에서 정보를
전달
하는 물질을 페로몬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성적 행동을 유발하는 성페로몬, 비상 연락에 사용하는 경보페로몬, 집으로 되돌아 가는 길을 알려주는 길잡이페로몬 등이 있다. 길잡이페로몬은 개미의 배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리는 통신방송위성의 극적인 활약을 실감했다. 전쟁의 진척사항과 뉴스를 세계 각처에
전달
한 것이 인텔샛위성이었으며 유럽의 유텔샛위성도 큰 역할을 했다. 소련의 인타스푸트닉위성도 CNN방송을 이라크에 중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NN의 피터 아네트 특파원이 바그다드의 호텔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것에도 비유될 수 있다.인간의 인식과 행동은 신경세포 하나만으로, 몇가지의 신경
전달
물질의 측정만으로 분석되는 것은 아니다. 수십억개의 신경세포들이 모여서 구성하는 거시체계 신경그물망(large scale neural network)의 개념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미시구조의 연구만으로 거시현상을 예측할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