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d라이브러리
"
작은 만
"(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개인의 간단한 신상명세를 담는 데이터베이스도
만
들 수 있다. 개인기록은 입력과 동시에 알파벳 ... 내용을 기억시켜 놓을 수 있다. 현재 샤프에서
만
든 제품은 각 메모 항목별로 알파벳으로 5백 12자까지 기록해 둘 수 있어
작은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전자수첩은 자신이 모태로 했던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주장이 잘못됐다고 쓰고 있다. 그는 믿을
만
한 세사람의 목격 보고를 인용해 대낮에 이들이 ... 결국 UFO현상이란 목격자들의 잘못된 감각이
만
들어낸 허구의 산물인가. 그렇지 않다. UFO현상은 ... 그는 물체가 착륙한 쪽으로 가까이 다가가서
작은
부속건물 뒤쪽에 몸을 숨기고 그 동작을 관찰했다.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한다.인간의 중추신경은 그물망을 형성하고 있지
만
전선처럼 이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신경세포들 사이에는 5
만
분의 1㎜정도의
작은
틈이 벌어져 있다. 이 부분이 시냅스 간격이며 이 틈을 신경전달물질이 왔다갔다 하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신경이 자극되면 신경말단으로부터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18
만
5천원에서 60
만
원대까지, 1백㎜이상은 수백
만
원에 이른다. 국산 쌍안경은 코팅기술이 부족하고 ... 환상적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목성의
작은
위성들도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혜성/끈기와 ... 발견해 낼 수 있을지에 대해 의심스러워 하겠지
만
, 충분히 가능성 있는 일이다.194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위해 연구팀은 실리콘보다 가격이 다소 비싸지
만
성능이 월등히 좋은 갈륨 아세나이드라는 ...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자체 중량이 가벼울수록
작은
힘으로 더 멀리 더 빨리 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 차체의 소재로 사용했고 전기모터도 초미니로
만
들었다. 무게가 5㎏밖에 나가지 않는 초소형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적인지 어미인지를 분간하는 암호가 정해져 있는 것이다.생태사진가 김수
만
씨(32)는 일주일 동안을 고생해 물총새의 땅속 생활을 사진으로 담았다. ... 사진을 찍는 동안 새끼가 어미를 분간하는 암호가 '뾱'이 라는 아주
작은
소리임을 확인했다.쌍살벌이라는 야생벌이 있다. 이 벌이 자식을 기르는 ... ...
TV화면 보다 선명도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때
만
해도 대부분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은 집채
만
한 컴퓨터를 조작하고 있었다. 당시의 컴퓨터를 ... 의 화면은 흡사 곤충의 눈과 같이 생겼으며 매우
작은
적색 녹색 도트(dot)가 정교하게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도트는 전자를
만
나 3원색을 띠게 되는데 전자를
만
나지 않는 곳은 검은색,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기는 하지
만
, 지구에서와 같이 모든 지형이 이 이론의 적용을 ... 균열을 일으키고 화산을 폭발하게 하였으며
작은
운석들은 지각에 운석공을
만
들었다. 약 30억년쯤 전에 운석 충돌이 그치고 약간 풍화작용이 일어나 원래 금성 표면 모습을 조금 바꿔 놓았다.그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폭의 주파수대역(周波數帶域)을 사용해야 한다.
만
일 다른 사람이 같은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면 ... 통신단말기가 휴대에 편리하도록 작고 가볍고
작은
출력을 갖게 되는 경향이고 아날로그 통신방식을 ... 미치는 영향으로는 먼저 각 개인이 전화기
만
휴대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전화통화가 ... ...
천체사진 촬영법 ㉻ 피지백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렌즈는 하늘의 넓은 영역들을 커버하므로
작은
크기의 행성상 성운들을 찍을 수 없다. 이들은 흐릿한
작은
별빛으로
만
느껴질 뿐이다. 그래서 고리 성운(M57)이나 아령 성운(M27), 또는 보다 작고 희미한 은하들과 구상성단들을 찍을 수 없다. 그리고 달과 행성들의 확대사진 역시 적합하지 않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