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러나 양성의 분화는 명확하지만 생식에는 한쪽의 생식세포만이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
생물
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紅藻)식물에서 볼 수 있는 무성포자(無性胞子)의 하나 돌김과 같이 체세포(
생물
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에서 생식세포 이외의 것)가 그 위치에서 약간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과 개구리알 같이 특별히 포자낭이 생겨서 그 속에 1개씩 만들어지는 것 등 두가지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근연종·품종 ... ...
칼 삼키는 묘기, X선으로 파헤치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미국 하버드대)엔리케 세르다 비야블랑카(칠레 산티아고대) ‘이불의 주름 연구’▽
생물
학상 = 요하나 반 브론스베이크(네덜란드 에인트호번공대)‘침대에 사는 벌레와 해충 박테리아 연구’▽화학상 = 야마모토 마유(일본 국제의료센터) ‘쇠똥으로 바닐라 맛내기’▽언어학 = 후안 마누엘 토로,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00% 화학과 출신으로 채워져 있단다. 조 교수는 “물리학도는
생물
학적 지식이 적고,
생물
학도는 물리학과 수학 이론에 약한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실험실에서 학문의 융합은 어렵다”며 아쉬워했다.이제 이론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실험할 준비까지 마쳤다. 그는 다차원분광학으로 자연에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름을 정하는 이명법을 창안했다. 이명법은 어떤
생물
이 속해 있는 속과 종을 이용해 그
생물
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다.1889년 5월 25일헬리콥터를 발명한 이고르 시코르스키 출생미국의 항공기 제작기술자. 평생 동안 대형 항공기와 헬리콥터 개발에 주력했다. 1931년 헬리콥터에 대한 특허를 ... ...
게놈 속에 게놈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경우 시료가 오염된 것으로 생각해 무시해왔다”며 “이번 발견으로 원핵
생물
과 진핵
생물
사이에는 유전자 교환이 없다는 기존 가설은 재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 ...
남자의 땀 냄새는 달콤할까, 구역질날까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풍기는 악취로 느낀다. 아예 이 냄새를 맡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미국 록펠러대의 신경
생물
학자인 레슬리 보샬 박사팀은 안드로스테론 냄새를 느끼게 하는 인간의 후각수용체를 발견해 9월 16일자 ‘네이처’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인간의 후각수용체 335개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66가지의 냄새에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초소형의 복합적 전자소자 1958년경 우주개발과 더불어 미국공군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
생물
의 유전을 관장하는 유전자의 본체로서 유전정보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전공학의 주역이기도 하다한 개의 칩위에 집적한 소자의 수가 1천개에서 10만개 사이인 집적회로를 말한다한국 대만 홍콩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2개의 빙산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류하는 빙산이 웨델해역의 약 40%에서 해양
생물
의 안식처를 제공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물론 웨델해역 빙산의 90%가 이번 조사대상보다 더 작아 앞으로 작은 빙산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빙산이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로 밝혀질지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낟알의 탈립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편 일본 농
생물
과학연구소 마사히로 야노 박사팀은 탈립성이 작은 일본 품종 ‘니폰베어’와 탈립성이 여전한 인도 품종 ‘카살라스’의 유전체를 비교해 qSH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함을 밝혔다. 니폰베어의 경우 이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