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날씨가 춥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이 되면 많은 동물이 겨울잠을 잔다. 곰, 다람쥐, 박쥐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인류의 사촌인 영장류 중에도 겨울잠을 자는 종이 있다.바로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다.일년 365일 영장류 생각만 하는 필자 같은 학자들도 접할 때마다 놀라는 사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1사람들은 떨리는 마음으로 전원을 켰다. 긴장할 시간도 없이, 금방 유미의 모습이 나타났다. 두 시간 전에 떠나버린 유미와 완전히 똑같은 얼굴, 똑같은 목소리였다. 다들 환호성을 질렀다.“유미야!”“어떡해, 진짜 옆에 있는 것 같아!”유미는 밝게 웃으며 사람들과 대화를 나눴다. 홀로그램으로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소프트로봇은 딱딱한 금속을 쓰지 않고 실리콘처럼 부드러운 재료로 만드는 일종의 생체모방로봇이다. 안전하고, 관절이 없어 자유도(기계가 움직일 수 있는 방향의 개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복잡한 알고리즘 없이도 유체의 압력을 이용해 단순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그만큼 속도도 빠르다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살아계셨다면 노벨상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반도체 학계의 원로인 김석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강대원 박사의 업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강 박사가 발명한 ‘금속산화물반도체전계효과트랜지스터(MOSFET, 모스펫)’가 현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 ...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로봇과 인공지능을 인간으로 보려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유럽연합(EU)의회 법사위원회는 1월 12일, EU차원에서 로봇 개발과 사용에 관한 규제, 그리고 로봇의 의무와 권리를 규정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했다. ‘또 다른 인간 종’의 탄생을 앞두고 논란이 점화될 전망이다. 인간에겐 기본소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Exoskeleton날마다 걸어 다니는 우리는 두 발로 서서 걷는 것이 별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두 다리로 땅을 딛고 42.195km를 우아하게 달릴 수 있는 동물은 지구상에서 인간이 유일하다. 두 다리로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된 것도 10여 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무거운 인간의 상체를 짊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난해 12월 말 ‘사이언스’는 2016년 최고의 과학 사진 10장을 뽑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미국 플로리다국제대에 설치된 대형 송풍장치 와우는 그 중 하나였다. 송풍기 날개 길이가 사람의 키보다 큰 이 거대한 장치는 이른바 ‘재난 기계(Disaster Machine)’ 중 하나다. 재난 기계는 허리케인이나 지진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개발도상국을 위한 쉬운 기술, 수준 낮은 기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적정기술은 ‘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사회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의미로, 첨단 기술도 포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된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현재 점점 많은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마모셋과 타마린 원숭이는 남미 열대우림에 사는 신세계원숭이다. 대부분 성체 몸무게가 500g을 넘지 않는 소형원숭이다. 얼핏 보면 작은 너구리나 다람쥐 같다. 바로 앞에서 눈을 바라보고 정교하게 움직이는 손가락을 관찰해야만 비로소 우리와 같은 영장류라는 확신이 생긴다.그런데 이들 원숭이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박형민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기계전공) 교수의 연구주제는 ‘다상 난류 운동’이다. 공대를 다니고 있거나 이분야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아마 주제의 이름만 듣고도 얼마나 어려울지 감이 올 것이다.하나씩 뜯어서 살펴보면, 다상은 기체, 액체, 고체와 같은 하나의 상이 아니라 고체와 기체, ... ...
이전3833843853863873883893903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