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팽창은 멈추지 않는다.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우주는 계속 팽창할 것인가, 아니면 다시 수축할 것인가. 최근 초신성 폭발 장면을 독자적으로 관측한 두 그룹의 과학자들이 우주가 끝없이 팽창할 것이라 ... 두 팀은 앞으로 1, 2년 더 다른 초신성들을 검토해 최종 결론을 내릴 계획이다. 우주의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지 주목되는 일이다 ... ...
- 3. 시간여행에 도전하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속도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오로지 질량이 없는 빛만이 광속으로 움직일 수 있다. 미래의 우주로켓과거로의 시간여행과 비슷한 또 하나의 화두는 별까지의 우주여행이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태양계 밖의 별은 켄타우루스자리 알파별로 4.3광년 떨어져 있다. 1초에 30만km를 날아가는 빛으로 ... ...
- 1. 1948년의 세 천재 위너 샤논 노이만과학동아 l1998년 01호
- 정의한 폰 노이만 기계(von Neumann machine)라 할 수 있다. 노이만은 인간의 신경계, 혹은 미래의 컴퓨터와 같이 매우 복잡한 형태의 자동자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 결과물이 1948년 발표한 인공 피조물의 자연행동과 기계의 자기증식에 관한 자동자이론이다.노이만의 자기증식 자동자이론은 ... ...
- 5. 21세기 비트혁명, 생물과 무생물 경계 허문다과학동아 l1998년 01호
- '상상의 과학'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것이 위험한 사고이든 아니든, 여하간 우리 미래의 한 부분이란 점이다. "나는 실리콘 지능이 결국 사람의 그것과 구별이 힘들 만큼 진화할 것으로 확신한다." 무어의 말이다 ... ...
- 꿈 길몽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1998년 01호
- 나타난다는 다소 신비주의적 입장을 취했다. 예를 들어 융은 꿈의 예지능력을 인정했다. 미래를 내다보는 일은 과거에 체험한 경험과 무관하다. 또 융은 민족마다 고유의 잠재의식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그 민족구성원의 꿈에 공통적으로 반영된다고 봤다. 예를 들어 돼지꿈은 한국인 누구에게나 ... ...
- 과학교육의 디딤돌 쌓는 벤처기업가과학동아 l1998년 01호
- 과학실험실(www.jasontech.com)로 만들면서 보다 많은 학생들이 가정에서 과학실험을 해 보며 미래의 꿈을 키웠으면 한다고 했다. 앞으로 수학, 지구과학, 화학, 그리고 생물교육용 시물레이션도 개발할 계획. 또 소프트웨어와 각종 센서, 계산기, 그리고 컴퓨터를 연결해 실험해 볼 수 있는 패키지상품도 ... ...
-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과학동아 l1998년 01호
- 바이러스를 박멸하고 스스로 살균력을 강화시키는 백신 프로그램도 가능할 것이다. 미래의 네트워크는 세균과 백혈구가 살아 숨쉬는 완전한 생태계가 될 것이 분명하다.노이만으로부터 시작된 인공생명의 목표는 복잡한 생명현상 일반에 관한 '통일장 이론'을 세우는 것이다. 이제 인공지능, 유전자 ... ...
- 3. 역사 속에서 사라진 날짜들과학동아 l1998년 01호
- 시간으로 지구의 23.9345시간보다 길다.미국의 천문학자인 토머스 강게일은 화성에서 쓰일 미래의 달력을 고안했다. 다리안달력이라 불리는 화성달력은 매달이 28일이고 1년이 24개월로 이루어져 있다. 이 달력의 기원년은 바이킹 1호가 화성에 최초로 착륙한 1976년의 7월20일로 정했다. 이 날은 ... ...
- 3. 인간과 기계를 통합시킨 사이버네틱스과학동아 l1998년 01호
- 자연계에서는 많은 동적 행동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사이버네틱 사회의 미래위너가 원래 정의한 사이버네틱스는 동물과 기계의 제어 및 통신에 관한 연구였지만, 요즘에는 이 정의는 '인간과 기계 및 사회에서 계산과 통신 및 제어에 관한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이 관점에서 정보화 ...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과학동아 l1997년 12호
- 그 중에서 천혜의 입지조건을 갖춘 이어도 해양기지는 선두주자에 해당한다.해양과학의 미래 담은 과학기지“이어도여 이어도여 이어말 하면 나는 눈물이 난다. 이어란 말은 말고서 가라. 강남으로 가려면 남쪽을 보아라. 이어도가 절반이다.” 제주 여인들이 한을 달래던 민요 ‘이어도하라’의 ... ...
이전3833843853863873883893903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