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고
고찰
심사숙려
심사숙고
참작
숙려
묵상
d라이브러리
"
고려
"(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론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양자역학적인 효과를
고려
할 때 흑체 복사처럼 블랙홀도 입자를 생성해 낼 수 있다는 이론인데 우주론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우주는 무(無)에서 탄생했나 1965년에 절대온도 3도의 마이크로파 복사의 발견과 함께 우주론은 ... ...
콩나물의 식품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해석된다.이웃 일본에서도 '모야시'라고 하여 콩나물과 숙주나물이 있는데 이것은
고려
조 이후 우리나라에서 건너갔을 것으로 보는설과 임진왜란 때 전래했을 것이라는 양설이 있다.일본 학자가 쓴 '한국의 명약'이라는 책에는 우리나라의 음식에 쓰이는 재료가 다양한데 거의 모두가 약이 되는 ... ...
바다의 탄생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다시 그곳에 빨려들기 시작한다. 이후 이런 현상이 되풀이 된다. 도표5는 이런 효과를
고려
한 경우의 계산의 한 예다. 지표온도가 일단 융점에 이르면 지표온도는 그대로 고정된다는것을 알수 있다. 마그마 오션이 일종의 서모스타트(thermostat·항온장치) 역할을 하는것이다. 바다와 같은 양의 ... ...
전파가 주는 인체 피해 기준설정 서두르는 미국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것이 밝혀졌다.EPA는 노인 유아 병자 등 체온 조절 능력이 낮은 사람들에대한 영향을
고려
하여 기준을 낮췄다.건강장해가 가장 우려되는것은 전파발신원 주변이다. 인체에의 영향에 대하여 아직 과학적으로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남아있는데도 규제를 서두르는 이유로서 EPA는 방송국이나 ... ...
전문적 내용보다 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혔으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밀착된 과학교육이 되어야 하겠다. 그렇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면이 실천적 방안으로
고려
되었으면 한다.첫째, 학급에서의 지도는 더욱 학생중심으로 되어야 한다. 둘째, 어떤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반드시 환경적인 여건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셋째, 문제해결의 학습방식이 보다 많이 사용되어야 ... ...
첨단산업의 첨단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정도로 적은것은 분명하나 그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 아닐수 없다.
고려
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의 김광종 박사는 "일부 반도체공장을 포함하여 생산업체의 유해화학물질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조사를 해왔지만 특별히 반도체공장에서 어떤 문제점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회사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완벽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다.제1법칙만 존재한다면 우리는 에너지 고갈이라는 상황을
고려
하지 않아도 된다. 대체에너지를 개발할 필요도 없고 석유가 앙등에 따른 에너지전쟁을 치르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우리는 현실의 상황이 그렇지않음을 경험을 통해서 익히 알고 있다. '이미 엎질러진 물'을 ... ...
화상회의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않는 곳으로 선택해야 한다. 회의실 공간은 회의를 하기 위한 각종 장비의 설치장소를
고려
해서 설정해야 한다.또한 실내 공간의 반향계수및 잔향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회의실의 길이, 넓이, 높이의 비율이 정수배로 되어서는 안된다. 통상 대형 회의실 높이는 폭의 ⅓정도, 소형 회의실의 ... ...
초전도체(超電導体)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일부 선진국에서 독점하고 있으나 미래의 에너지문제를 비롯하여 그 광범위한 응용을
고려
할 때 우리도 하루빨리 시작하여야만 할 것이다.'조셉슨'소자를 개발하는 연구는 아직도 많은 부분이 기초과학의 영역에 속해 있으며 지금까지 초전도체의 성질을 연구하였거나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수행한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그러나 프로이드나 융의 꿈이론은 어디까지나 꿈의 주체가 되는 뇌의 생물학적 기능을
고려
하지 않은 심리적 접근에 불과한 것이다. 최근 20~30년 동안에 활발이 전개되고있는 뇌와 뇌를 이루고 있는 신경세포의 기능에 따라 과학적 연구로 인하여 잠과 꿈에 대한 새로운 안목이 펼쳐지고 있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