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산
회계
셈
산출
원가계산
원가
합산
d라이브러리
"
계산
"(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마젤란이 이끈 탐험대가 세계일주에 처음으로 성공하면서 비로소 에라토스테네스의
계산
이 옳았다는 사실이 증명됐다.해보기 1. 카노푸스의 숨바꼭질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자리잡은 별인데 0.7등급으로 밤하늘을 통틀어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옛부터 노인성이라고 불렀다. 노인성을 ... ...
도메인 네임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기존 기록은 business.com이 세운 7백50만 달러. 환율을 1천2백원으로 가정해 우리 돈으로
계산
하면 대략 1백20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인 셈이다. 때문에 경매가 끝난 직후 세계 언론은 이를 빼놓지 않고 보도하는 민첩성을 보였다.문제는 이 응찰이 결국은 장난이었다는 것. 이베이 대변인은 1천만 ... ...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제리는 ‘앞으로 인생을 쉽게 살려면 데이빗과 같이 하는 것이 좋겠다’는 약삭빠른
계산
을 하게 됐다고 한다. 두 사람은 성격을 비롯해 모든 면에서 정반대였지만 죽이 잘 맞았다. 제리는 말하기를 좋아하고 언제나 사람들 앞에 나서기를 자청하는 반면, 조용한 성격의 데이빗은 한구석에서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계산
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고성능 컴퓨터의 발전으로 분자에서의 전자 분포를 알아내는
계산
이 쉬워지면서 복잡한 분자의 정확한 구조를 밝히는 일도 쉽게 할 수 있게 됐다. 화학자들이 분자의 모양과 대칭성에 관심을 갖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바로 분자의 모양이 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자 ... ...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교수는 스키와 눈 사이의 마찰계수를 0.05로 하고 스키가 1cm 달릴 때 발생하는 열을
계산
한 결과, 그 열로 인해 수 미크론 정도의 물 층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눈과 닿는 플레이트 표면에 얇은 물 층이 만들어져 스키가 자연스럽게 미끄러진다는 말이다. 눈 위를 달린다고 말하지만 플레이트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게놈의 염기가 30억개에 달하므로, 게놈프로젝트를 완수하려면 총 30억달러가 필요하다는
계산
이 나온다.또 염기서열을 해석하는 정확도는 완벽하게 100%이어야 한다. 해석 기술이 99.99%의 정확도를 가졌다 해도 턱없이 부족한 값이다. 0.01%가 틀렸다는 말은 사람의 경우 무려 30여만개의 염기를 잘못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다음에는 어떤 알려지지 않은 시료가 어느 모델에 더 잘 들어맞는지를 컴퓨터가
계산
해낼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 아직 고혈압과는 거리가 먼 30대(또는 20대)로부터 DNA를 추출해 모델과 맞추어보는 작업을 하면, 그 사람이 장차 고혈압으로 고통받게 될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미리 알려주어 4 ... ...
체감온도와 불쾌지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과학의 언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많은 수치
계산
에도 수학적인 식이 이용된다. 그 중 겨울철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체감온도가 있다. 체감온도는 기온, 풍속, 습도 등에 따라 신체가 느끼는 온도다.바람이 세찰수록 낮아지는 체감온도겨울철에는 바람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알 수 있다. 두 곳 사이의 거리나 측정하는 대상이 보이는 각도를 알면 정확한 거리를
계산
할 수 있다. 달까지의 거리도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보이는 위치를 측정해 구할 수 있다. 우리들이 눈앞에 있는 것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도 뇌가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서 보이는 것이 다른점을 이용해 ... ...
실험실에서 블랙홀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얼마나 많이 떨어져 나가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문제는 아직까지 이를 정확하게
계산
할 수 없었다는 것. 과학자들은 모의별의 내부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스펙트럼의 강도를 측정해, 실제 별들을 관측해 얻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별의 상태를 정확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그러나 이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