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스페셜
"
최근
"(으)로 총 4,60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
2017.04.26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시공사 제공 ※ 신작소개 과학동아와 dongascience.com의 인기 작가, ‘지뇽뇽’의 신작 ‘내 마음을 부탁해’가 출간됐습니다. "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예측력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얼굴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유전성도 크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허황된 얘기는 아닌 것 같다. 혈연관계가 없음에도 얼굴이 꽤 닮은 경우는 아마도 얼굴의 핵심영역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가운데 같은 형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시공사 제공 ※ 신작소개 과학동아와 dongascience.com의 인기 작가, ‘지뇽뇽’의 신작 ‘내 마음을 부탁해’가 출간됐습니다. "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아직까지 수용체가 제대로 규명이 안 돼 그 전모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최근
음식 선호도에 두 감각이 작용하는 예가 보고되기 시작했다. 바로 향신료 고수(cilantro)에 대한 선호도로 냄새수용체와 맛수용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냄새수용체인 OR4N5와 OR6A2의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
2017.04.16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시공사 제공 ※ 신작소개 과학동아와 dongascience.com의 인기 작가, ‘지뇽뇽’의 신작 ‘내 마음을 부탁해’가 출간됐습니다. "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떨어진 결과가 자고 나서도 피로가 덜 풀리는 정도라면 큰 문제가 아닐지도 모르지만
최근
연구결과 수면이 건강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즉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면역계와 내분비계, 심혈관계의 기능에 악영향을 줄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시공사 제공 ※ 신작소개 과학동아와 dongascience.com의 인기 작가, ‘지뇽뇽’의 신작 ‘내 마음을 부탁해’가 출간됐습니다. "나를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관심이 있다 보니, 도구가 없다면 직접 만들거나 개발하고자 합니다." 조 그룹리더는
최근
면역세포와 암세포 간 관계에 주목해 관련 연구에 몰두 중이다. 복잡한 미로에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찾아간다는 실험과 전이를 일으키는 암세포의 움직임이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접하고 난 뒤다. 그는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향기가 나오는 시간도 바뀐다는 것을 관찰했다.
최근
연구, 개화시기 조절 메커니즘 규명
최근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의 곽준명 그룹리더와 김윤주 연구위원은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 Riverside)의 쉐메이 첸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PWR단백질(POWERDRESS)이 식물의 성장 및 개화시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이에 따르면 빨라야 25년 전이나 26억 년 전 산소발생 광합성이 시작한 것으로 나온다.
최근
시아노박테리아 41종의 게놈을 해독해 분석한 결과 세 그룹으로 나뉘고 그 중 하나에서 유전자수평이동으로 광합성 관련 유전자가 들어와(녹색 화살표)만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고 나중에 산소발생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