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딥 임팩트’가 나란히 전세계를 휩쓸었다. 이 두 영화 역시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
아래
제작된 작품이다.딥 임팩트는 유진 슈메이커를 비롯한 많은 혜성 전문가들의 자문 덕분에 혜성의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유진 슈메이커 박사는 1994년 목성과 충돌했던 ‘슈메이커-레비9’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복원할 수 있는 최고 상한선은 약 5억년 전까지”라고 말했다.당시 한반도는 적도 20도
아래
남반구에 있었다. 그런데 이 박사는 “최근에 한반도에서 초대륙 로디니아의 숨겨진 지구 역사의 실마리를 풀어줄 수 있는 단서들이 제시되고 있다”고 말한다. 백령도에서 당시의 기록이 남아있는 오래된 ... ...
04. 땅속 불구덩이가 화강암 절경 이뤄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만들어졌다. 엄청난 양의 화산 분출물들이 지표 위를 뒤덮고, 뜨거운 용광로가 지표 바로
아래
까지 육박해 왔다.이 무렵 쌓인 화산 분출물의 퇴적층이 경상분지 가장 상부의 유천층군을 이룬다. 그리고 지하의 용광로가 ‘불국사화강암’이라 불리고 있는 백악기의 화강암을 만들었다. 이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모습을 알 수 있는 이유는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 제주도 해수면 하부 1백20m
아래
로는 모래와 펄로 구성된 퇴적층이 나타난다. 이 층에는 현무암이 자갈로 분포해 있는데, 이 현무암의 나이가 약 1백70만년이다. 처음으로 분출했을 때 만들어진 현무암인 것이다. 이 시기에는 해수면이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말한다.눈과 코와 입을 즐겁게 하면서 몸에도 활력을 주는 봄의 전령 딸기. 따뜻한 봄볕
아래
에서 병든 닭처럼 꾸벅꾸벅 졸음이 밀려올 때는 싱그러운 딸기 한접시가 보약인 셈이다.날로 인기가 높아지는 복분자딸기 프랑스 향료회사 샤라보의 한국지사장 이씨는 최근 흥미로운 경험을 했다. 한국을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얼굴에 환한 미소를 짓고 있었다. 비가 와도 제대로 차양 구실을 못하는 유리 지붕
아래
한여름이면 한증막이 돼버리기 일쑤고 겨울이면 추위로 곱아드는 손을 녹여야만 했던 이 실험실에서 고생한지 4년째 마침내 결실을 맺은 것이다.이들은 이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온세계를 떠들썩하게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여러번 바꿔가며 촬영했다. 이렇게 촬영한 필름을 하나로 다시 합성하게 되면 화면
아래
부분부터 중간 부분까지 사람들로 차게 된다. 모션컨트롤카메라는 컴퓨터와 연결돼 각각의 피사체 위치를 공간좌표로 기억하기 때문에 나중에 피사체 위치가 바뀌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원경에서 ... ...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땅
아래
에서 힘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당시 곤드와나대륙의 연변부에 있던 한반도는 땅
아래
에서 힘을 받아 이동을 했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땅이 해수면 위로 융기했다고 본다. 즉 사라진 시기동안 한반도는 적도까지 이동을 하면서 융기했던 것이다. 이때 지표면이 해수면 위로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재료 선택, 섞는 순서, 배합량은 솥의 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한편 용광로
아래
용해로에 고인 쇳물은 바가지로 떠서 거푸집으로 옮긴다. 바가지로 쇳물을 뜰때는 규소가루를 뿌려 쇳물의 유동성을 좋게 한다. 쇳물 온도가 너무 높아 제대로 성형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쇳조각을 넣어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
에 있는 두틈한 근육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